광주은행 “최고 수익·건전성 갖춘 ‘리딩뱅크’ 도약하겠다”
창립 52주년 맞아 ‘리빌딩 2400 전략’ 추진
올 3분기 당기순이익 1377억…자산건전성 업계 최고
2023년 당기순이익 2400억 목표…미래 경쟁력 강화
지역 밀착·고객 중심 경영·이익 이상의 가치실현 다짐
올 3분기 당기순이익 1377억…자산건전성 업계 최고
2023년 당기순이익 2400억 목표…미래 경쟁력 강화
지역 밀착·고객 중심 경영·이익 이상의 가치실현 다짐
![]() 송종욱 광주은행장이 지난 20일 열린 ‘창립 52주년 기념식’에서 2023년 당기순이익 2400억원을 달성하기 위한 ‘2400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광주은행 제공> |
광주은행(은행장 송종욱)이 창립 52주년을 맞아 지난 20일 기념식을 열고 지방은행 최고의 수익성과 건전성을 갖춘 리딩뱅크로 도약을 다짐했다.
광주은행은 이날 동구 대인동 본점에서 창립 52주년 기념식을 열고 고객 감사패 증정과 우수직원 표창 등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송종욱 은행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지방은행 최고의 수익성과 건전성을 갖춘 ‘리딩뱅크’(선도은행)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를 위해 오는 2023년 당기순이익 24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한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빌딩(Rebuilding) 2400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송 행장은 ‘2400 전략’ 핵심으로 지역과의 상생을 바탕으로 한 지역 밀착경영, 고객 중심 경영, 이익 이상의 가치실현을 들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저금리 장기화에 대응한 수익성 확보 및 마케팅 강화 ▲인력, 조직, 비용의 재구조화를 통한 내부자원의 효율적 배분 ▲견실한 수익성 유지와 활동고객 기반 확충을 통한 고객기반·지역밀착 경영 확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코로나19 금융지원과 포용금융 경영컨설팅 지원 등 지역 밀착 경영을 강화한다.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발굴과 소매 신용 여신 혁신, 마이데이터 사업 적극 대응 등 비대면 시대에 대응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도 주요 추진 전략이다.
광주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 1377억원, 순이자마진(NIM) 2.24%, 고정이하여신비율 0.41%, 연체비율 0.37% 등 은행권 최고 수준의 자산건전성을 이뤄냈다.
내년에는 당기순이익 1900억원, 2022년 2100억원, 목표해인 2023년에는 24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지난 1968년 11월20일, 자본금 1억5000만원, 직원 57명으로 첫걸음을 뗀 광주은행은 52년의 세월 동안 광주·전남을 대표하는 향토은행으로 성장했다.
기념식에 앞서 광주은행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공익통장 ‘넋이-5월, 그 날을 기억하며’를 선보였다.
이 공익형 금융상품의 예·적금 판매 수익 일부는 5·18기념재단에 기부된다. 통장 앞면은 옛 전남도청 등 5·18 사적지 모습으로 꾸몄다.
광주은행은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서도 좋은 성과를 내왔다.
시중은행과 겨룬 공공금고 유치전에서 광주시 1금고와 전남도 2금고를 수성하고, 순천시 2금고를 6년만에 탈환하기도 했다.
지난 4월에는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평가제도인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지방은행 부문에서 3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이 같은 결실은 광주은행의 사회환원 강화로부터 비롯된다.
광주은행은 코로나19가 국내 확산한 올해 초부터 취약계층과 의료진 등을 돕기 위해 광주시에 4억원, 전남도에 3억원, 목포·순천·여수·나주에 각 1000만원 긴급 구호 성금을 전했다. 임직원이 직접 제작한 2700상자의 긴급구호박스를 전달했고, 광주신용보증재단과 전남신용보증재단에 각각 10억원, 기술보증기금에 5억원을 출연했다. 자체 특별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을 지원해왔으며, 지난 9월 말 기준 대출 지원규모는 1만6373건, 7496억원에 달했다.
또 광주신보의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 특례보증’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광주은행 직원 40여 명을 파견해 주야간으로 접수서류 보완 및 보증서 조기 발급 업무를 도왔다.
송 행장은 “지금의 광주은행이 있기까지 한결같은 성원을 보내준 고객과 지역민들에 보답하고자 앞으로도 광주·전남 대표은행의 사명감을 가지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광주은행은 이익만을 좇기보다 지역과의 상생, 지역민과의 동행에 대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지역민에게 가장 사랑받고 신뢰받는 100년 은행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격상에 따라 참석인원 수를 제한해 방역 지침을 준수한 가운데 진행됐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광주은행은 이날 동구 대인동 본점에서 창립 52주년 기념식을 열고 고객 감사패 증정과 우수직원 표창 등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송종욱 은행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지방은행 최고의 수익성과 건전성을 갖춘 ‘리딩뱅크’(선도은행)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송 행장은 ‘2400 전략’ 핵심으로 지역과의 상생을 바탕으로 한 지역 밀착경영, 고객 중심 경영, 이익 이상의 가치실현을 들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저금리 장기화에 대응한 수익성 확보 및 마케팅 강화 ▲인력, 조직, 비용의 재구조화를 통한 내부자원의 효율적 배분 ▲견실한 수익성 유지와 활동고객 기반 확충을 통한 고객기반·지역밀착 경영 확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발굴과 소매 신용 여신 혁신, 마이데이터 사업 적극 대응 등 비대면 시대에 대응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도 주요 추진 전략이다.
![]() 광주은행 우수고객 감사패 증정.<광주은행 제공> |
내년에는 당기순이익 1900억원, 2022년 2100억원, 목표해인 2023년에는 24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지난 1968년 11월20일, 자본금 1억5000만원, 직원 57명으로 첫걸음을 뗀 광주은행은 52년의 세월 동안 광주·전남을 대표하는 향토은행으로 성장했다.
기념식에 앞서 광주은행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공익통장 ‘넋이-5월, 그 날을 기억하며’를 선보였다.
이 공익형 금융상품의 예·적금 판매 수익 일부는 5·18기념재단에 기부된다. 통장 앞면은 옛 전남도청 등 5·18 사적지 모습으로 꾸몄다.
광주은행은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서도 좋은 성과를 내왔다.
시중은행과 겨룬 공공금고 유치전에서 광주시 1금고와 전남도 2금고를 수성하고, 순천시 2금고를 6년만에 탈환하기도 했다.
지난 4월에는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평가제도인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지방은행 부문에서 3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이 같은 결실은 광주은행의 사회환원 강화로부터 비롯된다.
광주은행은 코로나19가 국내 확산한 올해 초부터 취약계층과 의료진 등을 돕기 위해 광주시에 4억원, 전남도에 3억원, 목포·순천·여수·나주에 각 1000만원 긴급 구호 성금을 전했다. 임직원이 직접 제작한 2700상자의 긴급구호박스를 전달했고, 광주신용보증재단과 전남신용보증재단에 각각 10억원, 기술보증기금에 5억원을 출연했다. 자체 특별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을 지원해왔으며, 지난 9월 말 기준 대출 지원규모는 1만6373건, 7496억원에 달했다.
또 광주신보의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 특례보증’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광주은행 직원 40여 명을 파견해 주야간으로 접수서류 보완 및 보증서 조기 발급 업무를 도왔다.
송 행장은 “지금의 광주은행이 있기까지 한결같은 성원을 보내준 고객과 지역민들에 보답하고자 앞으로도 광주·전남 대표은행의 사명감을 가지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광주은행은 이익만을 좇기보다 지역과의 상생, 지역민과의 동행에 대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지역민에게 가장 사랑받고 신뢰받는 100년 은행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격상에 따라 참석인원 수를 제한해 방역 지침을 준수한 가운데 진행됐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