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AI특위·지역 11개 산학연, AI예산 원안 통과 촉구
국회 예산심사 앞두고 국민의힘 ‘무늬만 AI’ 주장 정면 반박
광주시의회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AI특위)와 지역 11개 산업 산학연협의회가 25일 공동 성명을 내고 국회에 2026년도 AI 예산안의 원안 의결을 촉구했다.
광주시의회는 AI특위는 25일 성명을 통해 국민의힘 일부가 제기한 ‘무늬만 AI’ 삭감 주장을 “국가 미래 동력 스스로 걷어차는 자해 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AI특위는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AI 분야 10조1000억원 투자를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적 승부수이자 생존 조건”으로 평가했다.
반면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제기된 삭감 시도는 “연구현장 붕괴와 인재 유출을 초래했던 과거 R&D 예산 축소의 악몽을 되풀이하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광주는 AI 집적단지와 실증 생태계 확장을 통해 산업구조 전환과 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며, 중앙의 삭감 논리는 지방의 혁신 동력을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AI특위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는 위기감을 환기하며 “예산 삭감으로 도약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면 그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면거 “반대를 위한 반대와 정쟁을 멈추고, 국가 경쟁력 관점에서 AI 예산을 원안대로 처리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AI 모빌리티, 반도체, 데이터, 헬스케어 등 지역 전략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을 위해 예산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의회는 AI특위는 25일 성명을 통해 국민의힘 일부가 제기한 ‘무늬만 AI’ 삭감 주장을 “국가 미래 동력 스스로 걷어차는 자해 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반면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제기된 삭감 시도는 “연구현장 붕괴와 인재 유출을 초래했던 과거 R&D 예산 축소의 악몽을 되풀이하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광주는 AI 집적단지와 실증 생태계 확장을 통해 산업구조 전환과 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며, 중앙의 삭감 논리는 지방의 혁신 동력을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AI특위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는 위기감을 환기하며 “예산 삭감으로 도약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면 그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면거 “반대를 위한 반대와 정쟁을 멈추고, 국가 경쟁력 관점에서 AI 예산을 원안대로 처리하라”고 요구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