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2단계 6000억 가동…광주시, ‘국가AI연구소·집적단지’로 재도약
  전체메뉴
AI 2단계 6000억 가동…광주시, ‘국가AI연구소·집적단지’로 재도약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선정 불발에도 전 공직자 공유회 열고 ‘AI 중심도시’ 로드맵 재정비
2025년 10월 24일(금) 17:20
강기정 광주시장이 24일 오전 시청 대회실에서 열린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관련 전직원 공유회 참석해 유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AI 2단계 사업을 본격 가동하고 국가AI연구소 설립, 국가AI집적단지 지정을 축으로 재도약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국가AI컴퓨팅센터의 광주 선정은 불발됐지만, 공공주도형 생태계를 기반으로 초거대 컴퓨팅 확보와 후속 국가과제 연계에 속도를 내 ‘AI 중심도시’ 비전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선언이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시청 대회의실에서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관련 전 직원 공유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단순한 경과보고를 넘어 조직 전체의 목표와 실행 과제를 다시 묶는 자리로 진행됐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이 민간 컨소시엄 대응과 기업 협력 등 공모 추진 과정을 설명했고, 강기정 시장은 전 직원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AI 1단계 성과 위에 더 큰 도약을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강 시장은 국가AI데이터센터 개관, 인재양성 사다리, 실증장비 확충으로 구축된 공공주도형 생태계를 토대로 160개 기업 유치와 650개 일자리 창출이 이뤄졌다고 짚으며, 이를 광주형 AI 성장의 실증 결과로 제시했다.

광주 AI 2단계 사업인 AX 실증밸리(사업비 6000억 원)에 속도를 높여 제조·모빌리티·행정 등 전 산업 영역의 AI 전환을 실증하고, 국가AI연구소 설립과 국가AI집적단지 지정을 통해 연구개발과 기업 집적의 축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도심·산단·캠퍼스가 맞물린 실증 현장을 넓히고, 지역 대학·연구기관·스타트업이 같은 트랙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축적하며,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단계적으로 확보하는 ‘집적과 속도’ 전략이 핵심이다.

강 시장은 “허탈함보다는 실행으로 답하겠다”며 “광주의 AI 생태계는 이미 단단히 뿌리내렸고, 초거대 컴퓨팅 자원 확보와 국가AI연구소 설립, 국가AI집적단지 지정이라는 다음 목표를 분명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17년부터 시작한 광주의 AI 도전은 변수에 흔들리지 않는다. 분명한 목표와 꺾이지 않는 추진력이 있는 한 우리의 노력은 헛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다짐했다.

강 시장은 “전날 여권·야권을 포함한 광주지역 국회의원들과 대통령실 간 긴급 간담회가 열렸고, 우상호 대통령 정무수석은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함께 광주를 미래산업도시로 만들겠다는 의지는 변함이 없으며, 광주에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한 방안을 조속히 강구하라”는 주문이 있었다고 전했다.

강 시장은 “정부와 긴밀히 소통 중이며, 국가AI컴퓨팅센터 공약의 본질은 대규모 컴퓨팅 자원 확보에 있다. 광주의 AI 생태계 완성과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해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고 했다.

광주시는 이번 결과를 일시적 난관이 아닌 체질 강화의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AX 실증밸리는 현장 밀착형 과제 선정과 규제 특례 적용, 데이터·컴퓨팅 연동을 한 번에 해결하는 ‘패키지 실증’ 방식으로 속도를 낸다는 것이다.

국가AI연구소는 공공·민간·대학을 연결하는 개방형 허브로 설계해 초거대 모델, 경량화·효율화 기술, 안전·윤리 테스트베드 기능을 함께 묶는다. 국가AI집적단지는 기업 입주, 데이터·컴퓨팅·네트워크 3대 인프라, 표준화·평가 체계를 한 공간에 집적해 성장 속도를 끌어올리는 거점으로 구상된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광주는 인재, 인프라, 데이터, 생태계가 동시에 돌아가는 HIDE 모델을 이미 갖췄다”며 “AI 2단계와 국가AI연구소 추진을 통해 기업이 와서 바로 실험하고 곧바로 사업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는 ‘선(先) 실증, 후(後) 확산’의 광주형 실행 방식을 전국 표준으로 확장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광주시는 정부와의 협의 채널을 상시 가동해 공약 이행의 실질을 확보하는 한편, 시 자체 투자와 민간 매칭을 병행해 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