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맞춤 지원으로 호우 피해 복구 총력
주거 피해 최대 550만원·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전남도가 맞춤형 지원책을 통해 잇따른 극한호우로 피해를 입은 도민들의 일상 회복 돕기에 나섰다.
전남도는 호우로 일상 복귀가 어려운 도민에게 최대 55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전남신용보증재단과 연계한 특례 금융 상품도 제공하기로 했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3~4일 집중호우로 도내 주택 94동, 상가 71동, 농작물 1만여㏊가 침수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우선 주거생활 공간이 훼손된 도민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 350만원을 지원한다. 재해구호협회에서 지원하는 200만 원의 의연금까지 더하면 최대 5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영업장에 피해가 발생한 소상공인에게도 재난지원금 300만원과 전남도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해 200만원을 추가 지급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침수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은 주소지 읍·면·동으로부터 피해 사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경우 전남신용보증재단에 재해 특례보증을 신청할 수 있다. 최대 3억원 한도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보증료율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일괄 0.5%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전남도는 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자금과 연계해 최장 5년간 연 2% 고정금리로 최대 1억원의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노란우산공제 가입자는 납입금 한도 내에서 최대 2000만원을 무이자로 2년간 대출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전남도는 전남신용보증재단과 협력해 오는 8일까지 침수피해가 컸던 함평군 ‘함평천지 전통시장’에서 ‘찾아가는 금융버스 가드림’을 운영하며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은 상담과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전남도는 피해 규모가 큰 지자체가 ‘재난특별지역’ 지정에 포함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도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피해조사와 복구, 금융지원을 원스톱으로 추진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피해를 입은 도민은 재난발생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읍면동사무소에 피해 사실을 반드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3~4일 이틀간 전남도에는 최대 300㎜에 가까운 극한호우가 내렸다. 무안 망운면의 경우 289.6㎜, 담양 봉산 196㎜, 구례 성삼재 188㎜, 압해도 175㎜ 등 100년 빈도의 호우를 넘어서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전남도 곳곳에 생채기를 남겼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남도는 호우로 일상 복귀가 어려운 도민에게 최대 55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전남신용보증재단과 연계한 특례 금융 상품도 제공하기로 했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3~4일 집중호우로 도내 주택 94동, 상가 71동, 농작물 1만여㏊가 침수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영업장에 피해가 발생한 소상공인에게도 재난지원금 300만원과 전남도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해 200만원을 추가 지급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침수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은 주소지 읍·면·동으로부터 피해 사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경우 전남신용보증재단에 재해 특례보증을 신청할 수 있다. 최대 3억원 한도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보증료율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일괄 0.5%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전남도는 피해 규모가 큰 지자체가 ‘재난특별지역’ 지정에 포함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도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피해조사와 복구, 금융지원을 원스톱으로 추진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피해를 입은 도민은 재난발생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읍면동사무소에 피해 사실을 반드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3~4일 이틀간 전남도에는 최대 300㎜에 가까운 극한호우가 내렸다. 무안 망운면의 경우 289.6㎜, 담양 봉산 196㎜, 구례 성삼재 188㎜, 압해도 175㎜ 등 100년 빈도의 호우를 넘어서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전남도 곳곳에 생채기를 남겼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