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권·건강권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장애인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다. 전남은 27%로 전국에서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곳이다.
그렇다면 장애인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는 얼마나 될까.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263만1356명인데 65세 이상은 145만5782명으로 비율이 55.3%에 달했다. 장애인 가운데 고령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는 것은 고령장애인들은 ‘장애’와 ‘노화’라는 두 가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라는 한 가지 허들도 힘든데 노화라는 핸디캡까지 가지고 있어 특별한 돌봄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개최한 포럼에서 고령장애인들이 겪는 이동권과 건강권 소외가 이슈가 됐다. 이 자리에선 전국에 거주하는 고령장애인 500여명에 대한 인권현황 조사 결과가 공개됐는데 응답자의 27.1%가 “최근 1년간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못했다”고 답해 충격을 주었다.
60%에 가까운 응답자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동행할 가족이나 간병인이 없고 병원까지 갈 교통편이 불편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동권 제약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의 월 평균 가구 소득이 100만원을 넘지 않을 정도로 어렵다보니 스스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을 수 없는 것이다. 핵가족화로 1인 가구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생활고를 겪는 고령장애인들은 이동권과 건강권 소외란 이중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
장애도 힘든데 노화로 체력도 갈수록 떨어지는 고령장애인을 방치해선 안된다. 이동권 확보를 위한 장애인 콜택시 및 저상버스 증차 등 교통 인프라 개선과 함께 의료비 지원, 돌봄 확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고령장애인의 이동권과 건강권 확보를 인권 문제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장애인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는 얼마나 될까.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263만1356명인데 65세 이상은 145만5782명으로 비율이 55.3%에 달했다. 장애인 가운데 고령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는 것은 고령장애인들은 ‘장애’와 ‘노화’라는 두 가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0%에 가까운 응답자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동행할 가족이나 간병인이 없고 병원까지 갈 교통편이 불편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동권 제약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의 월 평균 가구 소득이 100만원을 넘지 않을 정도로 어렵다보니 스스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을 수 없는 것이다. 핵가족화로 1인 가구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생활고를 겪는 고령장애인들은 이동권과 건강권 소외란 이중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