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여름철 비브리오균 증가세…수산물 주의
7월 검출률 26.9%…“수산물 충분히 가열 후 먹어야” 당부
![]()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 직원들이 어패류에서 비브리오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
광주지역에서 식중독 원인균인 병원성 비브리오균 검출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광주시는 시민들에게 수산물 섭취와 취급 때 각별한 주의를 당구하고 나섰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역 비브리오균 검출률은 1~4월 2.2%(1건 검출·45건 검사), 5월 6.3%(1건 검출·16건 검사), 6월 17.7%(3건 검출·17건 검사), 7월 26.9%(7건 검출·26건 검사)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은 연중 시기별로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비브리오균(비브리오콜레라균, 비브리오패혈증균, 장염비브리오균)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6~9월)에는 생식용 수산물에 대한 검사를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번에 검출된 시료는 주로 수족관수와 손질되지 않은 패류에서 확인됐다. 다행이 생식용으로 유통되는 수산물에서는 병원성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브리오균에 감염될 경우 발열·오한·설사·복통·구토 등 장염 증상은 물론 상처 감염 땐 부종·발적·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만성간질환자, 당뇨 환자 등 면역 저하자는 패혈증이나 쇼크 등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에 광주시는 시민들에게 수산물 섭취와 취급 때 각별한 주의를 당구하고 나섰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역 비브리오균 검출률은 1~4월 2.2%(1건 검출·45건 검사), 5월 6.3%(1건 검출·16건 검사), 6월 17.7%(3건 검출·17건 검사), 7월 26.9%(7건 검출·26건 검사)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6~9월)에는 생식용 수산물에 대한 검사를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번에 검출된 시료는 주로 수족관수와 손질되지 않은 패류에서 확인됐다. 다행이 생식용으로 유통되는 수산물에서는 병원성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브리오균에 감염될 경우 발열·오한·설사·복통·구토 등 장염 증상은 물론 상처 감염 땐 부종·발적·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