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공기관 여성근로자 남성보다 임금 12.1%↓
광주시 공공기관의 성별 평균 임금차이는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출자·출연 2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4년도 성별 임금격차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성 노동자의 평균 임금은 남성보다 연간 12.1%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관별로는 광주교통공사(29.7%), 광주테크노파크(22.2%) 등에서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상위직급에 남성 인력이 집중된 인사 구조, 군 복무 경력 인정에 따른 근속연수 차이, 초과근무수당 지급의 차이 등 복합적 구조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성별을 이유로 한 명시적인 임금 차별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이영동 여성가족국장은 “광주시는 앞으로도 2년마다 성별임금 현황을 지속 공시해 불합리한 요소를 식별하고,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공공기관이 먼저 성평등을 실천함으로써 민간 부문에도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20개 공공기관의 전체 정규직과 무기계약직 노동자 2260명 중 여성은 665명으로 전체의 29.4%로 확인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광주지역 성별임금격차 개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23년 더불어민주당 채은지(비례)광주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성별임금격차 공시 조례’에 따른 것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출자·출연 2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4년도 성별 임금격차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성 노동자의 평균 임금은 남성보다 연간 12.1%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관별로는 광주교통공사(29.7%), 광주테크노파크(22.2%) 등에서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상위직급에 남성 인력이 집중된 인사 구조, 군 복무 경력 인정에 따른 근속연수 차이, 초과근무수당 지급의 차이 등 복합적 구조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영동 여성가족국장은 “광주시는 앞으로도 2년마다 성별임금 현황을 지속 공시해 불합리한 요소를 식별하고,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공공기관이 먼저 성평등을 실천함으로써 민간 부문에도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광주지역 성별임금격차 개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23년 더불어민주당 채은지(비례)광주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성별임금격차 공시 조례’에 따른 것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