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특위, ‘AI-모빌리티·산업벨트·광역교통’ 3축으로 광주·호남 재설계 건의
이병훈 부위원장 “이재명 정부 내 예산·정책 실현 총력” 정청래 대표 “호남 헌신에 국가가 답할 때… 적극 지원”
![]() |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가 당 지도부에 광주·호남 핵심과제를 ‘즉시 실행-중장기-광역 연계’로 묶은 패키지로 보고했다.
AI 인재·산업 생태계와 신산업선·광역철도 등 교통망을 한 축으로, 군공항 이전 제도개선과 5·18 사적 보존을 또 다른 축으로 세워 예산·법·제도 동시 추진을 요구했다.
21일 민주당 호남발전특위에 따르면 특위는 전날 오후 국회 본관 당대표회의실에서 ‘호남발전과제 당대표 보고회’를 열고 그동안의 활동 성과와 함께 광주·전남 발전을 위한 핵심 사업 리스트를 정청래 당대표에게 전달했다.
정청래 당대표 주재로 열린 보고회에서 특위는 광주 당면 현안으로 5·18 대표 사적의 국가주도 보존과 활용, 국제선 재개를 포함한 항공 네트워크 복원, KTX 호남선 공정운행(증편) 이행, 마륵동 탄약고 이전을 제시했다.
AI 영재고 설립과 미래모빌리티 기반 확충은 ‘사람-기술-기업’로 이어지는 인재 사다리와 테스트베드 조성을 핵심 축으로 삼아 내년도 예산과 부처 사업에 동시 반영할 것을 주문했다.
중장기 과제의 중심에는 군공항 이전의 국가 재정지원과 법·제도 개선이 놓였다. 현행 ‘기부대양여’ 한계를 넘는 특례와 재정 분담 구조를 명시하고,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이차전지 통합지원센터 설립, RE100 기반 스마트에너지 전환, 마이크로의료로봇 산업화, 반도체 기업 유치, K-컬처 허브 조성, 광주천 등 도시하천 복원과 물관리 혁신을 동시 추진하는 ‘산업-도시-환경’ 결합형 패키지를 제안했다.
광역권 성장축은 산업벨트와 생활권을 함께 잇는 교통망 확충에 방점이 찍혔다.
연구개발특구-진곡·하남-광주송정-평동-빛그린·미래차국가산단-영광을 직결하는 ‘광주 신산업선’, 광주-나주 광역철도, 광주-전주 축의 광역 고속도로 확장은 인력·부품·물류 흐름을 단일 네트워크로 묶어 신산업 집적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설명됐다.
호남권 첨단 바이오헬스 고도화는 권역 단위 임상-제조-규제특례 연계를 통해 기술사업화 속도를 높이는 방안이 담겼다.
특위는 내부 회의와 현장 간담, 전문가 검토,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사업별 우선순위와 재원 로드맵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는 예산 편성과 집행, 제도 정비까지 단계별 점검체계를 가동하겠다고 했고, 지역 보고대회를 통해 과제별 이행상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이번 건의를 발판으로 AI 인재 양성, 미래차·반도체·이차전지 육성, 군공항 이전 제도개선, 광역교통망 확충의 중앙정부 지원 창구를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이번 특위 활동은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호남의 경제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절박함에서 출발했다”며 “우리가 건의한 과제들이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예산과 법안으로 반드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끝까지 챙기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AI 인재·산업 생태계와 신산업선·광역철도 등 교통망을 한 축으로, 군공항 이전 제도개선과 5·18 사적 보존을 또 다른 축으로 세워 예산·법·제도 동시 추진을 요구했다.
정청래 당대표 주재로 열린 보고회에서 특위는 광주 당면 현안으로 5·18 대표 사적의 국가주도 보존과 활용, 국제선 재개를 포함한 항공 네트워크 복원, KTX 호남선 공정운행(증편) 이행, 마륵동 탄약고 이전을 제시했다.
AI 영재고 설립과 미래모빌리티 기반 확충은 ‘사람-기술-기업’로 이어지는 인재 사다리와 테스트베드 조성을 핵심 축으로 삼아 내년도 예산과 부처 사업에 동시 반영할 것을 주문했다.
광역권 성장축은 산업벨트와 생활권을 함께 잇는 교통망 확충에 방점이 찍혔다.
연구개발특구-진곡·하남-광주송정-평동-빛그린·미래차국가산단-영광을 직결하는 ‘광주 신산업선’, 광주-나주 광역철도, 광주-전주 축의 광역 고속도로 확장은 인력·부품·물류 흐름을 단일 네트워크로 묶어 신산업 집적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설명됐다.
호남권 첨단 바이오헬스 고도화는 권역 단위 임상-제조-규제특례 연계를 통해 기술사업화 속도를 높이는 방안이 담겼다.
특위는 내부 회의와 현장 간담, 전문가 검토,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사업별 우선순위와 재원 로드맵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는 예산 편성과 집행, 제도 정비까지 단계별 점검체계를 가동하겠다고 했고, 지역 보고대회를 통해 과제별 이행상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이번 건의를 발판으로 AI 인재 양성, 미래차·반도체·이차전지 육성, 군공항 이전 제도개선, 광역교통망 확충의 중앙정부 지원 창구를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이병훈 수석부위원장은 “이번 특위 활동은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호남의 경제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절박함에서 출발했다”며 “우리가 건의한 과제들이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예산과 법안으로 반드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끝까지 챙기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