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공직+민주노총 광주본부장, 이종욱 “광주시장 도전”…진보당 후보로 출마 선언
5일 기자회견서 “호남의 전성기, 상상 이상의 광주” 약속…공공의료 복원·노사해법·AI·산단 전환 해법 제시
![]() 이종옥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이 5일 광주시의회 기자회견장에서 진보당 입당과 광주시장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
이종욱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이 5일 진보당 소속으로 내년 광주시장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날 이 본부장은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존 정치·행정 방식으로는 더 이상 답을 찾을 수 없다”며 “호남의 전성기와 광주의 자존심 회복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광산구청 임용 이후 시청으로 자리를 옮겨 30년간 공직을 지냈고, 공무원노조와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을 역임한 이력으로 자신을 “행정을 아는 시장, 노동을 아는 시장”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군공항 이전과 재정위기, 행정통합, 시립의료원, AI 국가시범도시, 소각장 등 굵직한 현안을 거론하며 “완전히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갈등을 조정하고 합의를 끌어내 온 경험으로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핵심 메시지는 ‘공공성’이다.
시립요양병원 사례를 들며 “공공의료는 수익이 아니라 공공성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청년 유출에 대해선 “아이들의 울음과 청년의 웃음이 넘치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자동차산업의 노사 문제와 생산기반 강화에 대해선 “GGM 노사 갈등을 신속히 풀고 확보된 부지에 제2공장을 추진하겠다. AI와 자동차를 융합해 기아와 함께 ‘100만 대 친환경차 도시’의 기반을 깔겠다”고 청사진을 제시했다.
도시 문화 전략으로는 5·18의 가치와 아시아문화전당을 연결한 ‘K-민주주의 브랜딩’을 내세웠다.
그는 “문화·예술과 건축 관람객이 북적이는 ‘ACC 2.0’ 시대를 열겠다”며 공공문화 인프라의 기능 재정립을 예고했다. “색다른 정치·행정의 효능감을 140만 시민에게 증명하겠다”며 시청 공직자들과의 협업도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공직 재직 시기부터 노사관계 현장에서 갈등 중재와 합의를 도출해 온 경험을 자신의 경쟁력으로 꼽는다.
윤석열 즉각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상화 시민대책위 공동대표 활동 이력도 언급하며 “현장의 언어로 문제의 본질을 짚고 실행으로 답하겠다”고 했다.
그는 지난달 31일자로 30년 공직을 마무리했으며, “시청의 4천5백 공직자와 손잡고 ‘일하는 시정’을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날 이 본부장은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존 정치·행정 방식으로는 더 이상 답을 찾을 수 없다”며 “호남의 전성기와 광주의 자존심 회복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광산구청 임용 이후 시청으로 자리를 옮겨 30년간 공직을 지냈고, 공무원노조와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을 역임한 이력으로 자신을 “행정을 아는 시장, 노동을 아는 시장”이라고 규정했다.
그의 핵심 메시지는 ‘공공성’이다.
시립요양병원 사례를 들며 “공공의료는 수익이 아니라 공공성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청년 유출에 대해선 “아이들의 울음과 청년의 웃음이 넘치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도시 문화 전략으로는 5·18의 가치와 아시아문화전당을 연결한 ‘K-민주주의 브랜딩’을 내세웠다.
그는 “문화·예술과 건축 관람객이 북적이는 ‘ACC 2.0’ 시대를 열겠다”며 공공문화 인프라의 기능 재정립을 예고했다. “색다른 정치·행정의 효능감을 140만 시민에게 증명하겠다”며 시청 공직자들과의 협업도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공직 재직 시기부터 노사관계 현장에서 갈등 중재와 합의를 도출해 온 경험을 자신의 경쟁력으로 꼽는다.
윤석열 즉각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상화 시민대책위 공동대표 활동 이력도 언급하며 “현장의 언어로 문제의 본질을 짚고 실행으로 답하겠다”고 했다.
그는 지난달 31일자로 30년 공직을 마무리했으며, “시청의 4천5백 공직자와 손잡고 ‘일하는 시정’을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