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사회, “국가AI컴퓨팅센터 기업논리 결정” 반발 확산
  전체메뉴
광주 지역사회, “국가AI컴퓨팅센터 기업논리 결정” 반발 확산
긴급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서 정부,기업 성토 목소리
정부 공모절차 이의 제기, 민주당에 입장표명 요구도
2025년 10월 21일(화) 23:05
광주지역사회 대표들이 21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모여 광주 미래산업 비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지역사회가 국가AI컴퓨팅센터가 사실상 전남으로 가게 된 것을 두고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삼성SDS 컨소시엄이 전남을 최종 후보지로 선택하면서 광주시는 21일 오후 8시께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미래산업 비상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광주시의회, 종교계, 대학, 시민단체, 기업인 등 광주 각계각층 대표들이 참석해 1시간 넘게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모두발언에서 삼성SDS와의 협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강 시장은 “6월13일 2차 공모 유찰 이후부터 오로지 삼성SDS하고만 협의해 왔다”며 “10월 초까지는 아무 이상 없이 광주로 하는 걸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SDS가 지난 10일 광주 AI집적단지 부근 부지를 실사하면서 ‘지금까지 본 부지 중 가장 최적지’라고 평가했다”면서 “14일에도 광주시를 방문해 구체적 조건을 협의했다”고 전했다.

강 시장은 “그러나 공모 신청 10일을 앞두고 삼성SDS가 갑자기 전력요금과 땅값을 이유로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미 우리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됐다”며 “삼성SDS 말고 다른 기업과 손잡고 공모에 뛰어들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황이 됐다”고 아쉬워 했다.

그러면서 강 시장은 특히 “삼성SDS라는 기업의 기업윤리가 매우 분노스럽다”며 “매일 사귄다고 하다가 손 쓸 수 없는 상태에서 배신했다”고 비판했다.

광주시가 삼성SDS에 제안한 조건은 대용량 GPU 우선구매(2단계 6000억원, AI모빌리티신도시 1조5000억원), 부지가격 평당 200만원, 전력요금 경감(특별법 제정), 투자유치금 250억~1000억원 등이었다.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국가사업이 기업의 경제논리에 좌우됐다”고 입을 모았다.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은 “국가 미래산업 디딤돌이 민간기업 이해관계로 결정되는 건 문제”라며 “공모절차 문제를 명확히 제기하고 재공모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참석자들은 국가계약법 시행령을 근거로 “(공모사업의)세부 조건이 바뀌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세 번째 입찰 시 수의계약이 가능한데, 이번엔 조건이 많이 바뀌었다”며 “절차상 문제를 충분히 제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임택 동구청장은 “광주시가 주도해 남은 기간 포기하지 않고 정부와 기업에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말했고, 채은지 광주시의회 부의장은 “정부에 대안 마련을 압박하고 삼성SDS에 강력한 제재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상진 AI사업단장은 “빌딩을 도심에 세우느냐 벌판에 세우느냐에 따라 가치가 천차만별”이라며 “국제 AI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 곳에 투자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용혁 페르소나 광주지사장은 “광주는 4년간 AI 노하우를 쌓았고 우리 기업도 그걸 믿고 내려와 28명을 고용했다”며 “속도가 핵심인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건 국가 정책상 올바르지 않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정청래 민주당 당대표에게 광주 입장 전달, 정부에 공모절차 문제 제기, 대안 마련 요구 등을 결의했다.

강 시장은 “내일(22일) 아침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당대표 입장을 듣고 광주 국회의원들이 입장을 내겠다고 했다”며 “비상회의 참석자 일동 명의로 광주지역 사회의 입장문을 만들어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