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정치행보 시동…호남 정치지형 지각변동 예고
내년 지방선거 몸값 키운뒤 민주당과 합당 시나리오 나와
무한경쟁시 호남에서 ‘민주당 공천 당선’ 원칙 깨질수도
무한경쟁시 호남에서 ‘민주당 공천 당선’ 원칙 깨질수도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지난 15일 광복절 특별사면·복권 조치로 출소하며 서울 구로구 남부교도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을 계기로 조 대표와 혁신당에 대한 상당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광주·전남 정치지형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혁신당이 합당·협력을 하거나 반대로 경쟁을 펼친다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 선거판이 요동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영광·담양군수 재보궐선거에서 혁신당이 돌풍을 일으키는 등 호남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도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무한 경쟁도 관측되고 있다.
17일 정가에 따르면 조국 전 대표의 사면으로 내년 광주·전남지역 지방선거 판세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현재 민주당과 혁신당 일각에서는 합당 의견이 공공연하게 흘러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조 전 대표 사면 전 양 당이 물밑에서 비공식 체널을 통해 합당 등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지만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조건없는 합당’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혁신당은 당 대 당 통합에 따른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당은 합당 여부와 내년 지방선거 전략 등을 놓고 의견을 주고 받았지만 입장 차이가 컸다.
민주당으로서는 다수 당의 권리를 내려놓는 게 쉽지 않고, 혁신당도 내년 지방선거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느긋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양 당의 합당 과정에 조국 전 대표라는 강력한 대통령 후보가 나타났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뚜렷한 대권 주자가 없는 민주당으로서는 합당 후 다수의 의석을 확보하고도 대권 중심의 당 운영이 이뤄진다면 빠르게 혁신당에 당권을 내줄 수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 처럼 양 당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내년 지방선거 이전에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혁신당과 민주당이 각기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경우 ‘수도권·경기·영남 등지의 경합지역은 협력’ ‘호남 등 우세지역은 경쟁’을 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 경합지역의 협력을 조건으로 우세지역인 호남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전략적인 후보 단일화도 점쳐지고 있다.
반대로 호남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이 본선 경쟁을 펼친다면 전체 선거 판세도 요동치게 된다. 호남의 경우 ‘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이어졌던 ‘무패 공식’도 깨질 수 있다.
현재 혁신당은 정치 신인 발굴을 통해 광역·기초의회 의원 선거에 모두 후보를 공천하는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조국 전 대표의 애정도 남달라 광주·전남지역에서 대대적인 신인 발굴 작업에 나서고 있다. 광주·전남 광역·기초의회에 혁신당이 본격적으로 입성한다면 향후 지역 정가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정가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혁신당은 광역·기초 단체장 선거에도 적극적으로 후보를 낼 방침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내년 지방서거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뜨거운 호남대전’도 예고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도 정치 신인 교육에 나섰고, 여성·청년 전략지역을 선정하는 등 강도 높은 공천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정청래 대표도 무리한 컷오프 대신 다양한 후보에게 기회를 주겠다고 공헌하고 있다.
민주당으로서는 광주·전남지역 공천 과정에 1차 컷오프 된 후보군이 혁신당 옷을 입고 본선을 출마하거나 혁신당 후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무리한 컷오프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선 재보궐선거에서 컷오프를 없앤 대신 모든 후보에게 기회를 준 뒤 2~3차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를 뽑는 ‘구로구청장·담양군수 경선 방식’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지난 영광군수 재선거에서 선전한 진보당과 지역 기반을 다지고 있는 정의당도 도전을 준비하고 있어 내년 광주·전남 지방선거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과 혁신당이 합당·협력을 하거나 반대로 경쟁을 펼친다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 선거판이 요동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17일 정가에 따르면 조국 전 대표의 사면으로 내년 광주·전남지역 지방선거 판세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현재 민주당과 혁신당 일각에서는 합당 의견이 공공연하게 흘러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조 전 대표 사면 전 양 당이 물밑에서 비공식 체널을 통해 합당 등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지만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조건없는 합당’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혁신당은 당 대 당 통합에 따른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으로서는 다수 당의 권리를 내려놓는 게 쉽지 않고, 혁신당도 내년 지방선거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느긋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양 당의 합당 과정에 조국 전 대표라는 강력한 대통령 후보가 나타났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뚜렷한 대권 주자가 없는 민주당으로서는 합당 후 다수의 의석을 확보하고도 대권 중심의 당 운영이 이뤄진다면 빠르게 혁신당에 당권을 내줄 수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 처럼 양 당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내년 지방선거 이전에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혁신당과 민주당이 각기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경우 ‘수도권·경기·영남 등지의 경합지역은 협력’ ‘호남 등 우세지역은 경쟁’을 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 경합지역의 협력을 조건으로 우세지역인 호남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전략적인 후보 단일화도 점쳐지고 있다.
반대로 호남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이 본선 경쟁을 펼친다면 전체 선거 판세도 요동치게 된다. 호남의 경우 ‘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이어졌던 ‘무패 공식’도 깨질 수 있다.
현재 혁신당은 정치 신인 발굴을 통해 광역·기초의회 의원 선거에 모두 후보를 공천하는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조국 전 대표의 애정도 남달라 광주·전남지역에서 대대적인 신인 발굴 작업에 나서고 있다. 광주·전남 광역·기초의회에 혁신당이 본격적으로 입성한다면 향후 지역 정가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정가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혁신당은 광역·기초 단체장 선거에도 적극적으로 후보를 낼 방침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내년 지방서거에서 민주당과 혁신당의 ‘뜨거운 호남대전’도 예고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도 정치 신인 교육에 나섰고, 여성·청년 전략지역을 선정하는 등 강도 높은 공천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정청래 대표도 무리한 컷오프 대신 다양한 후보에게 기회를 주겠다고 공헌하고 있다.
민주당으로서는 광주·전남지역 공천 과정에 1차 컷오프 된 후보군이 혁신당 옷을 입고 본선을 출마하거나 혁신당 후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무리한 컷오프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선 재보궐선거에서 컷오프를 없앤 대신 모든 후보에게 기회를 준 뒤 2~3차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를 뽑는 ‘구로구청장·담양군수 경선 방식’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지난 영광군수 재선거에서 선전한 진보당과 지역 기반을 다지고 있는 정의당도 도전을 준비하고 있어 내년 광주·전남 지방선거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