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3단체장 첫 만남 ‘원점’, 곧 다시 만나길
광주시장과 전남지사, 무안군수 등 공항 이전 관련 지자체 3인의 단체장들이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년 만에 처음으로 3자 회담을 가졌지만 입장 차만을 확인했다. 대구·경북통합 신공항과 부산가덕도 공항, 전북 새만금 국제공항 등 타지역의 신설 공항이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무안 국제공항으로의 민간·군 공항 이전 문제가 3자 회동에서 출구를 찾지 못하자 지역 경제계를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지금도 존재감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광주공항과 무안 국제공항 등의 문제가 10년 이상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한발도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에서 지역민들의 분노도 커지고 있다.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은 그제 공동 입장문을 내고 “(광주시장·전남지사·무안군수) 3자는 무안국제공항 문제가 서남권 발전의 기본임을 인식하고 민·군 통합공항의 무안 이전에 대해 서로 입장을 밝히고 경청했으나 무안군의 반대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무안군에 대한 다양한 이전 인센티브 제공, 산단 조성 및 신도시 개발·공항 관련 부가가치 산업 지원 등을 제안했다. 하지만 김산 무안군수는 소음 문제와 군 공항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다행히 광주시와 전남도가 무안군민을 지속적으로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에 박수를 보낸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아직 진심이 전달되지 못한 것 같다”며 “무안 통합공항을 호남 관문으로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힘을 내겠다”고 말했으며, 전남도 관계자도 “공항 문제에 대한 공론의 장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역의 미래를 놓고 만난 자리였다. 첫 만남은 만족치 못했을지라도 3단체장은 곧 다시 만나 의견을 나누길 바란다.
다행히 광주시와 전남도가 무안군민을 지속적으로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에 박수를 보낸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아직 진심이 전달되지 못한 것 같다”며 “무안 통합공항을 호남 관문으로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힘을 내겠다”고 말했으며, 전남도 관계자도 “공항 문제에 대한 공론의 장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역의 미래를 놓고 만난 자리였다. 첫 만남은 만족치 못했을지라도 3단체장은 곧 다시 만나 의견을 나누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