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단상 - 임동욱 선임기자
  전체메뉴
사찰 단상 - 임동욱 선임기자
2023년 03월 13일(월) 23:00
광주 인근엔 사찰이 많다. 마음 한 자락 내려놓고 옆 동네 마실 가듯 찾아가면 잊고 있었던 봄꽃처럼 지척에 있다. 광주 도심의 무각사와 무등산 자락의 증심사, 화순의 운주사, 곡성의 태안사, 강진의 백련사, 장성의 백양사 등 곳곳에 지친 마음 쉴 수 있는 사찰들이 자리잡고 있다. 요즘같이 갈등과 혼돈이 판치는 세상에 마음 다스리기엔 삶의 여백을 마주할 수 있는 사찰만큼 좋은 곳은 없다.

사찰의 곳곳에는 보이지 않는 수고가 담겨져 있다. 정갈하게 빗질된 대웅전 마당, 요사채 주변의 잘 닦여진 장독대, 늘 그랬다는 듯이 잘 자란 나무들까지 누군가의 고단한 정성이 녹아 있다. 세상은 그런 것이라지만 새삼 고개가 숙여지는 지점이다. 풍파에 헤진 겸손을 여미면 잘 보이지 않던 것도 뚜렷해진다. 어김없이 오가는 계절도 확연해지고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과오도 뼈아프게 다가온다.

봄이 되니 사찰 주변의 꽃나무들이 눈에 띈다. 사람은 왔다가 가고, 꽃은 피었다 지는 단순하지만 거스를 수 없는 진리를 보게 된다. 사찰 담장에 기댄 목련도 꽃망울을 내밀었다. 꽃샘추위가 지나면 점차 만개할 것이다. 그래도 전라도 봄날 사찰의 대표적인 꽃은 동백이다. 강진의 백련사 등은 흐드러진 동백나무 군락이 상징이지만 어느 사찰이나 동백 두어 그루쯤에 고즈넉한 자리를 내어 준다.

봄날의 따스한 볕에 다투어 피는 꽃은 지천이다. 하지만 동백은 겨울날 숨어서 꽃망울을 머금고 봄이 오면 섧게 지는 만큼 애달프고 아름답다. 꽃이 질 때는 바람에 한 잎씩 날리지 않고 온몸이 통째로 떨어진다. 시들기 전에 떨어진 동백꽃은 바닥에서도 여전히 붉어, ‘두 번 피는 꽃’이라고도 한다. 모든 꽃은 피어날 때 이미 질 것을 알고 있다. 꽃이 져야 비로소 그 자리에 열매가 생기기 때문이다.

지속되는 정쟁으로 민생은 고단하고 미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치는 결국 민심을 얻는 일이다. 꽃이 피고 지듯, 정치도 삶의 보편적 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 소모적 정쟁보다는 낮은 곳을 향한 ‘헌신’이 민심을 모은다. 봄이 오는 길목에서 정치권이 되새겨야 할 화두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