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27일 새벽 고흥서 우주로
국내개발 위성 싣고 첫 야간 발사
고흥우주발사전망대 특별 운영
고흥우주발사전망대 특별 운영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의 4차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번 발사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위성을 싣고 처음으로 야간에 진행되는 실전 발사여서 눈길을 끈다.
23일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남도, 고흥군 등에 따르면 오는 27일 오전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에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진행한다.
지난 2023년 5월 3차 발사 성공 이후 약 2년 6개월 만의 비행이다.
4차 발사의 핵심 임무는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고도 600km의 태양동기궤도에 안전하게 안착시키는 것이다.
무게 500kg급인 이 위성은 우주 궤도에서 오로라와 우주 방사선 등을 관측하는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오로라 관측 센서의 특성상 태양 빛의 간섭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누리호는 사상 처음으로 낮이 아닌 캄캄한 새벽 시간대에 발사대를 떠나게 된다.
이전 발사와 가장 차별화되는 점은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 총괄과 발사 운용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탑재되는 위성의 규모와 임무도 대폭 확대됐다. 3차 발사 당시 8기의 위성이 실렸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주 탑재 위성 1기를 포함해 국내 산업체와 연구기관, 대학이 개발한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의 위성이 우주로 향한다.
위성부의 총중량도 3차시에는 500여㎏이었지만 이번에는 960㎏에 달한다. 이는 누리호가 실전 투입 가능한 중량급 위성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음을 입증하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누리호는 25일 조립동에서 나와 발사대로 이동한 뒤 기립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고흥군은 누리호 발사를 앞두고 최적 관망지인 고흥우주발사전망대를 특별 운영한다. 누리호 4차 발사를 관람하기 위한 방문객이 전국에서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망대에서는 26일 오후 6시부터 27일 0시까지 무료로 입장이 진행된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이번 발사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위성을 싣고 처음으로 야간에 진행되는 실전 발사여서 눈길을 끈다.
23일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남도, 고흥군 등에 따르면 오는 27일 오전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에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진행한다.
4차 발사의 핵심 임무는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고도 600km의 태양동기궤도에 안전하게 안착시키는 것이다.
무게 500kg급인 이 위성은 우주 궤도에서 오로라와 우주 방사선 등을 관측하는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오로라 관측 센서의 특성상 태양 빛의 간섭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누리호는 사상 처음으로 낮이 아닌 캄캄한 새벽 시간대에 발사대를 떠나게 된다.
이전 발사와 가장 차별화되는 점은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 총괄과 발사 운용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위성부의 총중량도 3차시에는 500여㎏이었지만 이번에는 960㎏에 달한다. 이는 누리호가 실전 투입 가능한 중량급 위성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음을 입증하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누리호는 25일 조립동에서 나와 발사대로 이동한 뒤 기립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고흥군은 누리호 발사를 앞두고 최적 관망지인 고흥우주발사전망대를 특별 운영한다. 누리호 4차 발사를 관람하기 위한 방문객이 전국에서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망대에서는 26일 오후 6시부터 27일 0시까지 무료로 입장이 진행된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