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촌산단 지하수도 1급 발암물질 … 광주시, 2년째 외면
로케트건전지 주변 TCE 기준치 9배·호남샤니 주변은 11배 초과
북구, 정화 필요 예산 요구에 광주시 “자치구 업무 지원근거 없다”
북구, 정화 필요 예산 요구에 광주시 “자치구 업무 지원근거 없다”
![]() 본촌산단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
광주시 북구 본촌산단 지하수에서도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북구는 이미 2년 전 발암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광주시에 정화에 필요한 예산을 요구했지만, 광주시는 지원근거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교부하지 않아 사실상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한국농어촌공사의 ‘본촌산단 지하수·토양오염 조사 용역’ 최종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하남산단 전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밀 조사에서 지하수에 포함된 트리클로로에틸렌(TCE)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TCE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주로 금속 세척, 탈지 작업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 용역은 ‘하남산단’이 공업용수로 쓰는 지하수에서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조사 결과<7월 15일자 광주일보 7면>가 나온 연구용역과 같은 시기에 진행된 것이다.
2017년 광주시가 지하수 관리를 위해 진행한 전수조사에서 하남산단과 본촌산단 인근의 조사결과에 따라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와 광주시가 북구와 광산구에 각 2억1500만원, 10억원의 연구용역비를 지원한 것이다.
이에 북구가 발주한 이 연구용역은 2020년 6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충적관측정 29개소 및 암반관측정 1개소, 기설암반관정 2개소, 양산저수지 1개소 등 38지점에서 109점의 시료를 채취해 분석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1·2차조사에서 총 14지점에서 채취한 75점에서 TCE가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오염지역은 (구)로케트건전지 부지와 호남샤니 부지로 확인됐다. 법적 공업용수 수질기준은 TCE 0.06mg/ℓ지만, (구)로케트건전지 폐수처리장 하부에서 최고 공업용 수질기준의 9배(0.579mg/ℓ), 호남샤니 주변 11배(0.678mg/ℓ)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오염방지 대책으로 주요 오염지역에 대한 추가 보완조사 실시와 적정정화공법 선정해 정화 작업을 실시할 것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에 북구는 하남산단 용역보고서를 공문으로 제출하지 않은 광산구와 달리 광주시에 해당 용역결과 보고서를 정식 공문으로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구는 기초지자체의 어려운 재정으로 큰 부담이 되는 정화 사업을 한번에 하기 위해 광주시에 도움을 요청하고 환경부에 문의하는 등 자구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올해 말 환경부가 본촌산단 인근에 지하수와 토양오염에 대한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는 것이 북구의 설명이다.
북구는 실제 정화사업 명목으로 광주시에 54억원의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광주시는 지하수관리는 기초지자체 고유사무라는 점과 지원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난색을 표했다.
광주시는 5개 지자체중 유일하게 지하수이용부담금 조례를 마련해 지하수 관리 재원을 마련하고 있는 서구의 예를 들어 북구에도 관련 공문을 보냈지만, 현재까지 관련 조례가 제정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지하수 관리감독 권한은 기초지자체에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박수기 광주시의원이 제334회 임시회 시정질의에서 “산업단지의 근로자와 인접 주거지역 시민들이 사용하는 지하수에서 기준치 500배에 달하는 1급 발암물질이 발견됐음에도 광주시와 광산구는 침묵하고 방치했다”고 지적한데 광주시의 입장은 동일했다.
정현윤 광주시 기후환경국장은 지하수 관리·책임 주체는 광산구라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은 “광주시가 지하수 관리계획을 수립해 광산구가 지하수 용역을 진행한 만큼 총괄 권한과 책임은 광주시에 있는 것 아니냐”며 “이 상황은 긴급재난에 가깝다. 당장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광산구는 이날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 대처를 사과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사과문을 내놨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지하수 검사 결과가 2년 넘게 묻힌 배경과 책임소재에 대해 감사를 시행하겠다”면서 “전문가, 환경단체 등과 조속히 TF를 구성해 오염 확산을 막고, 정화 대책을 강구하는 등 종합적인 대응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북구는 이미 2년 전 발암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광주시에 정화에 필요한 예산을 요구했지만, 광주시는 지원근거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교부하지 않아 사실상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용역은 ‘하남산단’이 공업용수로 쓰는 지하수에서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조사 결과<7월 15일자 광주일보 7면>가 나온 연구용역과 같은 시기에 진행된 것이다.
2017년 광주시가 지하수 관리를 위해 진행한 전수조사에서 하남산단과 본촌산단 인근의 조사결과에 따라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와 광주시가 북구와 광산구에 각 2억1500만원, 10억원의 연구용역비를 지원한 것이다.
조사결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1·2차조사에서 총 14지점에서 채취한 75점에서 TCE가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오염지역은 (구)로케트건전지 부지와 호남샤니 부지로 확인됐다. 법적 공업용수 수질기준은 TCE 0.06mg/ℓ지만, (구)로케트건전지 폐수처리장 하부에서 최고 공업용 수질기준의 9배(0.579mg/ℓ), 호남샤니 주변 11배(0.678mg/ℓ)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오염방지 대책으로 주요 오염지역에 대한 추가 보완조사 실시와 적정정화공법 선정해 정화 작업을 실시할 것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에 북구는 하남산단 용역보고서를 공문으로 제출하지 않은 광산구와 달리 광주시에 해당 용역결과 보고서를 정식 공문으로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구는 기초지자체의 어려운 재정으로 큰 부담이 되는 정화 사업을 한번에 하기 위해 광주시에 도움을 요청하고 환경부에 문의하는 등 자구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올해 말 환경부가 본촌산단 인근에 지하수와 토양오염에 대한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는 것이 북구의 설명이다.
북구는 실제 정화사업 명목으로 광주시에 54억원의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광주시는 지하수관리는 기초지자체 고유사무라는 점과 지원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난색을 표했다.
광주시는 5개 지자체중 유일하게 지하수이용부담금 조례를 마련해 지하수 관리 재원을 마련하고 있는 서구의 예를 들어 북구에도 관련 공문을 보냈지만, 현재까지 관련 조례가 제정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지하수 관리감독 권한은 기초지자체에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박수기 광주시의원이 제334회 임시회 시정질의에서 “산업단지의 근로자와 인접 주거지역 시민들이 사용하는 지하수에서 기준치 500배에 달하는 1급 발암물질이 발견됐음에도 광주시와 광산구는 침묵하고 방치했다”고 지적한데 광주시의 입장은 동일했다.
정현윤 광주시 기후환경국장은 지하수 관리·책임 주체는 광산구라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은 “광주시가 지하수 관리계획을 수립해 광산구가 지하수 용역을 진행한 만큼 총괄 권한과 책임은 광주시에 있는 것 아니냐”며 “이 상황은 긴급재난에 가깝다. 당장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광산구는 이날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 대처를 사과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사과문을 내놨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지하수 검사 결과가 2년 넘게 묻힌 배경과 책임소재에 대해 감사를 시행하겠다”면서 “전문가, 환경단체 등과 조속히 TF를 구성해 오염 확산을 막고, 정화 대책을 강구하는 등 종합적인 대응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