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욱·조응천 합류 거부 … 이낙연 신당의 ‘어두운 미래’
‘새로운미래’ 민주당 탈당파 중 김종민 만 참여 ‘반쪽 창당’
이준석 대표와도 ‘삐걱’…개혁신당과 빅텐트 무산 가능성
이준석 대표와도 ‘삐걱’…개혁신당과 빅텐트 무산 가능성
![]() 새로운미래 이낙연 공동대표가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로운미래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당 대표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전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신당이 민주당 탈당파 3인 주축의 ‘미래대연합’과 창당 과정에서 파열음을 내고 있다.
4일 비명(비이재명)계 탈당파 의원 3인이 주축인 ‘미래대연합’의 이원욱·조응천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와의 공동 창당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두 정당이 합친 ‘새로운미래’와의 공동 창당에는 미래대연합 현역 의원 가운데 김종민 의원 한 사람만 참여했다.
또한 전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이끄는 개혁신당과의 빅텐트 추진 방안 및 당명 등을 놓고 전날까지 내부 이견이 표출되며 합의 무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원욱 의원과 조응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 큰 통합을 위해 오늘 저희는 합당에 참여하지 않습니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상상력의 정치를 시작하자는 결의였다. 가치와 비전, 양심을 기준으로 완성해 나가자는 결의였다”면서 “‘새로운미래’에 참여하는 것은 영혼없이 몸만 얻어 주는 일이라 생각했다”고 지적했다.
또 “통합을 위해 신명나게 일할 수 없는 과정이다. 상상력의 정치로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저희들의 결심을 훼손시키는 일이었다”며 “분열과 갈등이 없는 나라, 양극화로 절망을 겪지 않는 나라, 아이들과 청년이 꿈꿀 수 있는 나라, 그 나라를 만들기 위해 가치와 비전 중심의 정치, 양심의 정치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합의 원칙은 수평적 통합, 열린 통합이다. ‘새로운미래’와 통합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 이유에 대해 “흡수통합은 원칙에 맞지 않는 통합이다”면서 “정당의 헌법인 강령과 당헌은 반드시 합의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일방적 의결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가치와 비전 중심의 통합을 주장해온 저희가 묻지마 통합을 위해서 몸을 던지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다”면서 “오히려 오늘 저희 선택이 올바른 정치를 위해 민주당을 떠난 청년들이 앞으로 더 크게 역할할 수 있는 대통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정치는 영혼과 이성의 조율이 이룬 소명으로 해야 한다. 공간만 이동하는 통합은 불협화음만 낳을 뿐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국민은 여전히 절망과 분열의 나라에서 고통을 겪고 있지만 정치권은 지금도 극단적 혐오주의에 빠져 ‘말로만 민생’을 말하고 있다”면서 “대통합의 정신과 실천만이 ‘공화시민과 청년들이 당당히 정책을 결정하는 나라’를 만들 수 있다. 저희는 그들이 제3지대 정당의 주체로서 우뚝 서는 정당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미래대연합’과 ‘새로운미래’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당 공동 창당대회를 했다.
당 대표는 새로운미래 인재위원장인 이 전 대표와 미래대연합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인 김종민 의원이 공동으로 맡았다. 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책임위원으로 구성되며, 책임위원 등 나머지 지도부 선출은 당 대표에게 위임하기로 했다.
새로운미래의 당헌에는 ▲집단지도체제 및 소수자 보호 ▲중앙당 윤리심판원 독립성 및 사법기능 강화 ▲‘레드팀’ 당무 검증위원회 설치 ▲공직 후보자 도덕성 담보를 위한 구체적 공천 배제 요건 등을 담았다.
정강·정책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 정신을 계승해 서민이 행복하고 중산층이 두터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국익과 실용을 중심에 둔 포용적·중도 개혁주의 및 노무현 전 대통령 정신을 계승한 민주 정치 구현을 통한 미래 비전 등의 6개 원칙을 확정했다.
새로운미래는 이날까지 경북, 부산, 광주, 전북, 경기, 충북, 강원, 인천, 서울 등 총 9개 시도당 창당을 완료했고, 중앙당 창당 대회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총선 준비에 돌입할 예정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4일 비명(비이재명)계 탈당파 의원 3인이 주축인 ‘미래대연합’의 이원욱·조응천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와의 공동 창당에 참석하지 않았다.
또한 전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이끄는 개혁신당과의 빅텐트 추진 방안 및 당명 등을 놓고 전날까지 내부 이견이 표출되며 합의 무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원욱 의원과 조응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 큰 통합을 위해 오늘 저희는 합당에 참여하지 않습니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상상력의 정치를 시작하자는 결의였다. 가치와 비전, 양심을 기준으로 완성해 나가자는 결의였다”면서 “‘새로운미래’에 참여하는 것은 영혼없이 몸만 얻어 주는 일이라 생각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 이유에 대해 “흡수통합은 원칙에 맞지 않는 통합이다”면서 “정당의 헌법인 강령과 당헌은 반드시 합의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일방적 의결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가치와 비전 중심의 통합을 주장해온 저희가 묻지마 통합을 위해서 몸을 던지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다”면서 “오히려 오늘 저희 선택이 올바른 정치를 위해 민주당을 떠난 청년들이 앞으로 더 크게 역할할 수 있는 대통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정치는 영혼과 이성의 조율이 이룬 소명으로 해야 한다. 공간만 이동하는 통합은 불협화음만 낳을 뿐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국민은 여전히 절망과 분열의 나라에서 고통을 겪고 있지만 정치권은 지금도 극단적 혐오주의에 빠져 ‘말로만 민생’을 말하고 있다”면서 “대통합의 정신과 실천만이 ‘공화시민과 청년들이 당당히 정책을 결정하는 나라’를 만들 수 있다. 저희는 그들이 제3지대 정당의 주체로서 우뚝 서는 정당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미래대연합’과 ‘새로운미래’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당 공동 창당대회를 했다.
당 대표는 새로운미래 인재위원장인 이 전 대표와 미래대연합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인 김종민 의원이 공동으로 맡았다. 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책임위원으로 구성되며, 책임위원 등 나머지 지도부 선출은 당 대표에게 위임하기로 했다.
새로운미래의 당헌에는 ▲집단지도체제 및 소수자 보호 ▲중앙당 윤리심판원 독립성 및 사법기능 강화 ▲‘레드팀’ 당무 검증위원회 설치 ▲공직 후보자 도덕성 담보를 위한 구체적 공천 배제 요건 등을 담았다.
정강·정책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 정신을 계승해 서민이 행복하고 중산층이 두터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국익과 실용을 중심에 둔 포용적·중도 개혁주의 및 노무현 전 대통령 정신을 계승한 민주 정치 구현을 통한 미래 비전 등의 6개 원칙을 확정했다.
새로운미래는 이날까지 경북, 부산, 광주, 전북, 경기, 충북, 강원, 인천, 서울 등 총 9개 시도당 창당을 완료했고, 중앙당 창당 대회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총선 준비에 돌입할 예정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