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거주 이주민, 비만율·고혈압 2배 이상 높아
![]() |
광주에 살고 있는 외국인들은 한국인보다 비만율과 흡연율, 고혈압 유병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전남대병원에 따르면 광주시 감염병관리지원단의 ‘이주민 건강 및 감염병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이주민의 비만율은 63.4%로 내국인(33.8%)보다 190% 높았다. 흡연율은 이주민(26.1%)이 내국인(10.9%)에 비해 239%, 만성질환 중 고혈압 유병률은 49.7%로 내국인(24.2%)보다 205% 높았다.
당뇨 유병률 역시 이주민(19%)이 내국인(11.5%)보다 60.5% 높았다.
우울감 경험률은 24.2%로 내국인(9.4%)보다 257.4% 높았고 신장질환과 심장질환의 의사진단 경험률은 무려 7~11배 이상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12일 열리는 ‘광주시 거주 이주민 건강권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심포지엄에서는 이주민의 건강권 현황과 문제점으로 파악하고 이주민 주요 정책을 통해 건강권 향상과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또 광주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건강 및 감염병 실태를 살펴보고 후속 조치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주민 건강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10일 전남대병원에 따르면 광주시 감염병관리지원단의 ‘이주민 건강 및 감염병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이주민의 비만율은 63.4%로 내국인(33.8%)보다 190% 높았다. 흡연율은 이주민(26.1%)이 내국인(10.9%)에 비해 239%, 만성질환 중 고혈압 유병률은 49.7%로 내국인(24.2%)보다 205% 높았다.
우울감 경험률은 24.2%로 내국인(9.4%)보다 257.4% 높았고 신장질환과 심장질환의 의사진단 경험률은 무려 7~11배 이상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12일 열리는 ‘광주시 거주 이주민 건강권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심포지엄에서는 이주민의 건강권 현황과 문제점으로 파악하고 이주민 주요 정책을 통해 건강권 향상과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또 광주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건강 및 감염병 실태를 살펴보고 후속 조치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주민 건강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