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참달팽이 인공증식 20마리, 홍도에 첫 방사
  전체메뉴
멸종위기 참달팽이 인공증식 20마리, 홍도에 첫 방사
환경부 참달팽이 보전계획
2022년 07월 12일(화) 19:00
전남 신안군 홍도 원 서식지에 방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참달팽이. <신안군 제공>
신안군 홍도 원래 서식지에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참달팽이가 돌아왔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연구시설에서 인공증식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참달팽이 20마리를 지난 8일 신안군 홍도의 원래 서식지에 방사했다.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된 참달팽이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 홍도 인근에서 주로 발견되는 고유종이다. 개체밀도가 가장 높은 주요 서식처에서도 약 5마리/100㎡ 정도만 발견될 정도로 개체군의 수가 매우 적다.

참달팽이는 암수 한몸(자웅동체)이자 허파 호흡을 하는 육상달팽이로 다른 개체와 짝짓기를 통해 정자를 교환하고 수정 후 한 번에 알을 낳는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2018년 홍도에서 참달팽이 5마리를 도입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초생활사를 규명했으며, 2020년 12마리를 인공증식하는 데 성공했다.

2년 후인 현재 참달팽이 수는 총 65마리로 늘어났으며, 이번 방사에는 가장 건강한 준성체(패각길이 약 1.5~2cm) 20마리가 선택됐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이번에 방사한 참달팽이 20마리에 무선개체식별장치 발신기(PIT-tag)를 부착했으며, 활동 시기인 10월까지 한 달 간격으로 야생 적응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이들의 월별 생존·성장률 및 이동특성 등의 자료를 인공증식 개체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야생 적응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참달팽이는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칼슘원을 섭취하는데 유리한 민가 인근의 풀숲 지역에 방사될 예정이며, 동면 시기 이전인 10월까지 매달 정기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방사는 ‘환경부 참달팽이 보전계획’에 따른 것으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협조가 절실하다”면서 “주민들이 실수로 참달팽이를 포획하는 일이 없도록 홍보와 교육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