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섬진강 녹조 사전예방 나선다
가뭄 장기화에 확산 우려…영산강환경청 수질관리협의회 개최
주암댐·동복댐·탐진댐 먹는 물 안전성 확보, 오염원 집중 관리
주암댐·동복댐·탐진댐 먹는 물 안전성 확보, 오염원 집중 관리
![]() 순천 주암댐 전경. <영·섬유역본부 제공> |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영산강·섬진강 수계 녹조(유해 남조류) 발생 예방을 위해 관계당국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2017년 정부 결정으로 영산강 승촌보(洑)와 죽산보가 상시 개방되면서 녹조 발생이 뜸해지고 생태계도 일정부분 회복됐지만, 올해는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 수준에 그쳐 여름철 녹조 발생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4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영산강환경청은 지난 13일 영산강·섬진강 수계내 광역지자체, 한국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영산강·섬진강 수질관리협의회’ 실무회의를 개최했다.
수질관리협의회는 수계 내 조류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9개 관계기관과 전문가로 꾸려진 협의체다. 영산강환경청, 영산강홍수통제소,영산강물환경연구소, 광주시, 전남·북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관리공단, 한국농어촌공사가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선 수계내 녹조관리 대책과 기관별로 수립한 녹조대응 및 협력체계 강화방안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졌다.
특히 식수원으로 조류 경보제가 시행되는 주암댐, 동복댐, 탐진댐의 먹는 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논의도 이뤄졌다.
영산강환경청은 오염원 유입저감을 위해 총인 방류처리 강화, 수계 내 각종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등 오염원을 집중 감시하고 점검하기로 했다. 영산강의 녹조 빈발지역인 상류 공공 하·폐수처리장 5개소(광주 제1·제2 하수, 장성하수, 함평 하수, 해보 하수)의 총인 배출량을 저감 방류하고, 폐수배출시설 등 오염원을 집중 관리해 오염물질 유입을 줄인다는 것이다.
또 다양한 감시체계를 구축해 하천 주변 축분 등 오염원을 감시하고, 지자체와 합동으로 점검해 오염물질 유출을 억제하기로 했다.
영산강환경청은 상수원 조류측정, 하천 수질자동측정망 운영, 드론·환경지킴이를 활용한 감시와 하천순찰을 통해 녹조 발생 경로를 상시 관찰하는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녹조가 대량 발생할 경우에는 공동 대응체계를 통해 조류경보를 단계별로 발령해 대응할 예정이다. 녹조 발생지역에 물순환장치 가동, 조류제거 이동차량 투입, 조류제거선 활용 등 수질개선 시설물을 최적 운영해 녹조 발생을 완화할 계획이다.
먹는 물의 안전확보를 위해 취수탑 부근에 조류유입 차단막 설치, 녹조 발생시는 조류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심층부로 취수구 수위를 조정해 정수처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승희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가뭄 장기화와 이른 폭염으로 녹조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녹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 먹는 물의 안정적 공급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산강에서는 2013년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보 건설 이후 매년 여름 녹조가 급증했다. 그러나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승촌보와 죽산보 상시 개방 결정이 내려진 이후 잠잠해졌다. 환경부가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모니터링 한 결과, 2019년 영산강의 여름철(6∼9월) 유해 남조류 세포수는 163cells/㎕로 2013∼2017년 평균치(4693cells/㎕)보다 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 남조류세포가 급감하는 등 녹조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것은 보 개방으로 하천의 물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813% 빨라지는 등 물 흐름이 개선된 것이 주된 이유라고 환경부는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2017년 정부 결정으로 영산강 승촌보(洑)와 죽산보가 상시 개방되면서 녹조 발생이 뜸해지고 생태계도 일정부분 회복됐지만, 올해는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 수준에 그쳐 여름철 녹조 발생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수질관리협의회는 수계 내 조류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9개 관계기관과 전문가로 꾸려진 협의체다. 영산강환경청, 영산강홍수통제소,영산강물환경연구소, 광주시, 전남·북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관리공단, 한국농어촌공사가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선 수계내 녹조관리 대책과 기관별로 수립한 녹조대응 및 협력체계 강화방안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졌다.
영산강환경청은 오염원 유입저감을 위해 총인 방류처리 강화, 수계 내 각종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등 오염원을 집중 감시하고 점검하기로 했다. 영산강의 녹조 빈발지역인 상류 공공 하·폐수처리장 5개소(광주 제1·제2 하수, 장성하수, 함평 하수, 해보 하수)의 총인 배출량을 저감 방류하고, 폐수배출시설 등 오염원을 집중 관리해 오염물질 유입을 줄인다는 것이다.
또 다양한 감시체계를 구축해 하천 주변 축분 등 오염원을 감시하고, 지자체와 합동으로 점검해 오염물질 유출을 억제하기로 했다.
영산강환경청은 상수원 조류측정, 하천 수질자동측정망 운영, 드론·환경지킴이를 활용한 감시와 하천순찰을 통해 녹조 발생 경로를 상시 관찰하는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녹조가 대량 발생할 경우에는 공동 대응체계를 통해 조류경보를 단계별로 발령해 대응할 예정이다. 녹조 발생지역에 물순환장치 가동, 조류제거 이동차량 투입, 조류제거선 활용 등 수질개선 시설물을 최적 운영해 녹조 발생을 완화할 계획이다.
먹는 물의 안전확보를 위해 취수탑 부근에 조류유입 차단막 설치, 녹조 발생시는 조류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심층부로 취수구 수위를 조정해 정수처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승희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가뭄 장기화와 이른 폭염으로 녹조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녹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 먹는 물의 안정적 공급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산강에서는 2013년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보 건설 이후 매년 여름 녹조가 급증했다. 그러나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승촌보와 죽산보 상시 개방 결정이 내려진 이후 잠잠해졌다. 환경부가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모니터링 한 결과, 2019년 영산강의 여름철(6∼9월) 유해 남조류 세포수는 163cells/㎕로 2013∼2017년 평균치(4693cells/㎕)보다 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 남조류세포가 급감하는 등 녹조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것은 보 개방으로 하천의 물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813% 빨라지는 등 물 흐름이 개선된 것이 주된 이유라고 환경부는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