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산·거리두기 재강화에 광주·전남 소비 위축
  전체메뉴
오미크론 확산·거리두기 재강화에 광주·전남 소비 위축
한은 ‘호남권 1분기 경제동향 모니터링’
지역민 백화점 카드지출 연말보다 16.5% 줄여
“광주신세계 인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영향도”
대형마트 회복세…온라인 지출 7.6% 감소
2022년 03월 30일(수) 11:40
올해 1~2월 광주·전남 거주자들의 백화점 부문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신한·하나카드 국내 결제액 기준)은 직전 2개월(11~12월)보다 16.5% 감소했다. 광주 주요 백화점들 전경.<광주일보 자료사진>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재강화로 올해 1분기 광주·전남 소비가 전분기보다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 소비자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는 두 달 연속 하락했다.

30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호남권 경제 동향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올해 1~2월 광주·전남 거주자들의 백화점 부문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신한·하나카드 국내 결제액 기준)은 61억7900만원으로, 직전 2개월(11~12월) 사용액인 73억9900만원보다 16.5%(-12억2000만원) 감소했다.

대형마트와 슈퍼마켓 사용액은 지난 연말 288억6700만원에서 올 들어 289억5400만원으로, 0.3%(8700만원) 소폭 증가했다.

올해 1~2월 광주·전남 지역민들의 온라인 사용액은 125억2600만원으로, 직전 기간(135억6000만원)보다 7.6%(-10억3400만원)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 백화점 사용액은 연말 43억원에서 올 들어 37억9100만원으로, 11.8%(-5억900만원) 감소했다.

전남 거주자들의 백화점 부문 카드 사용액도 22.9%(30억9900만원→23억8000만원) 줄었다.

<자료: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한은 측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심화되고 방역조치가 강화되면서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서비스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백화점 매출 감소의 경우 광주신세계는 점포와 직선거리 200m 떨어진 신축 아파트 공사장에서 붕괴사고가 지난 1월 발생하면서 교통통제 및 추가 건물 붕괴 우려 등의 영향으로 내방객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광주신세계가 이달 발표한 202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점포는 광주지역 3개 백화점 중 46.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외 광주 대형마트·슈퍼마켓 카드 사용액은 올 들어 150억9000만원으로, 직전 기간(151억8300만원)보다 0.6%(-9300만원) 감소했다. 반면 전남 대형마트·슈퍼 사용액은 136억8400만원에서 138억6400만원으로, 1.3%(1억8000만원) 증가했다.

광주 시민들은 올해 들어 온라인 카드 소비를 10.7%(-7억8000만원), 전남 도민들은 4.0%(-2억5400만원) 줄였다.

한편 한은 광주전남본부가 지난 29일 발표한 ‘3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광주·전남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2개월 연속 떨어졌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9.1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전국은 103.2로 지난달과 비교해 0.1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9월 100.0을 기록한 뒤 5개월 연속 기준치(100)를 넘겼던 광주·전남 지수는 전달 99.5로 기준치 아래로 떨어진 뒤 이번에 더 주저앉았다.

100을 넘으면 2003∼2020년 평균보다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단 향후 소비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지출전망 지수는 전달보다 3포인트 오른 109를 나타냈다.

한은은 최근 방역체계 완화 기조가 재개된 상황에서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정책 등이 소비심리 개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는 지난 14일부터 22일까지 광주전남 도시 가구 600가구(응답 512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