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한국화 전공 10인, 10일까지 예술공간 ‘집’
![]() 권예솔 작 ‘생각하는 공간’ |
‘#(해시태그)’는 현대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시그니처 중 하나다. 일상의 필수아이템인 휴대폰 속의 버튼 하나, 컴퓨터 키보드 위에 새겨진 자판 하나에 불과하지만 가상의 관계망을 촘촘히 연결해 시대를 규정하고, 현재의 키워드를 읽어낼 수 있게 해준다. 해시태그를 잘 살펴보면 현재 우리 사회의 이슈들이 얼마나 빠르고 다양하게 확산되고 변화하는 지 알 수 있다.
해시태그를 통한 사회의 다양한 단면을 들여다본 전시회가 열린다.
전남대 예술대학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과 졸업생 10명이 함께 새로운 작품 세계 모색을 시도한 전시회 ‘#우물정’이 오는 10일까지 광주시 동구 예술공간 ‘집’에서 열린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시 참여작가이기도 한 박화연 작가의 기획으로 진행된다.
권예솔·나지수·박화연·설 박·양세미·왕샤오난·왕해음·윤준영·전정연·조하늘 등 10인의 작가들이 참여했으며 각자 다양한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출품했다.
#해시태그는 그 모양새가 한자 ‘井’(우물 정)과도 같다. 예전, 우물은 식수를 제공하는 삶의 중요한 장소이자 생활의 지혜나 소문을 나누는 장소이기도 했다.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해시태그는 옛 장소인 우물처럼 수많은 관계망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해시태그와 우물의 연계성에서 출발해 ‘#’를 각자의 다양한 해석을 담아 제작한 작품들이 모아졌다.
박화연 작가는 “우물과 해시태그는 실재와 가상이라는 서로 다른 장소성을 지녔지만 ‘관계의 매개’로서 존재해 온 공통된 지점을 발견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조명해 본 기획”이라고 말했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전남대 예술대학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과 졸업생 10명이 함께 새로운 작품 세계 모색을 시도한 전시회 ‘#우물정’이 오는 10일까지 광주시 동구 예술공간 ‘집’에서 열린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시 참여작가이기도 한 박화연 작가의 기획으로 진행된다.
권예솔·나지수·박화연·설 박·양세미·왕샤오난·왕해음·윤준영·전정연·조하늘 등 10인의 작가들이 참여했으며 각자 다양한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출품했다.
박화연 작가는 “우물과 해시태그는 실재와 가상이라는 서로 다른 장소성을 지녔지만 ‘관계의 매개’로서 존재해 온 공통된 지점을 발견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조명해 본 기획”이라고 말했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