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수상태양광사업에 송전탑 포함…주민 반발
군, 해창만 담수호에 추진…조계산에 8~9기 송전철탑 건설
주민들 “공청회 한번 없이 농가·축사 위 고압 송전탑이라니…”
주민들 “공청회 한번 없이 농가·축사 위 고압 송전탑이라니…”
![]() 수상 태양광발전소 건설 사업이 추진중인 고흥군 해창만 일대. 지중화가 아닌 송전철탑 방식으로 추진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광주일보 자료사진> |
고흥 해창만 담수호 수상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 추진 과정에서 일부 구간 송전철탑 공사가 포함돼 군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28일 송전철탑 건설 예정지 주변 지역민에 따르면 해창만에 추진되는 태양광발전소 사업에 고흥군 풍양면 율치리 조계산 일대를 지나는 8~9기의 송전철탑이 포함됐다.
주민들은 고압 송전철탑이 설치될 경우 상당한 생활 피해가 예상되고 자연경관 훼손 및 농가와 축사에 악영향이 예상되는데도 주민 의견 수렴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공사를 강행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무안과 신안 등 전남지역에서 운영 중이거나 건설예정인 330만㎡(100만 평)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100~200MW)는 송전선로 지중화가 추진됐으나 고흥은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더구나 해창만의 소유주인 고흥군이 개발허가권자이면서도 송전철탑 공사를 묵인하거나 방조하고, 정확한 군의 견해를 내놓지 않아서 시간이 흐를수록 답답함만 더하고 있다.
급기야 주민들은 자연환경과 경관 파괴, 축산 농가의 피해가 불 보듯 하므로 주민 건강권과 자연 생태계를 위해서 수상태양광 발전소와 연결되는 송전선로의 지중화가 절실하다는 내용을 담은 탄원서를 군수와 군의회 앞으로 발송하기도 했다.
군 의회는 군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지중화를 추진해달라는 내용의 군정 질의를 펼친 바 있으나, 군은 송전철탑과 관련한 사전 협의나 논의가 없었다고 답변했다.
해창만 수상태양광발전 우선협상대상자인 발전사업자 측은 송전철탑 설치안으로 한전과 발전허가 및 송전용량 계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져 군민들의 지중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철탑 건설이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송전철탑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다른 지자체들은 대규모 태양광사업 추진시 피해 여부를 살핀 뒤 주민과 협의 및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밟지만, 고흥군은 주민 의견 수렴은 고사하고 제대로 된 공청회 한번 열지 않았다”며 “철탑은 지중화에 비해 25%의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수십억 원의 특혜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려는 의혹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고흥군 관계자는 “송전철탑 설치에 대한 민원이 접수된 바 없다”면서 “주민들이 송전철탑 반대 및 지중화를 요구하는 민원을 군청에 제기한다면 대책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흥군은 지난해 1월 2000억 원대의 해창만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수면 임대 우선 협상대상자로 임대제안서를 낸 5개 업체 가운데 한 곳을 선정했다. 해창만 담수호 100㏊에 95㎿ 규모의 발전을 하는 시설로 군은 직접 투자 없이 자산 임대 방식으로 이익금을 주민들에게 일정 부분 나눠주는 전국 최초의 주민참여형(주민참여율 22%) 사업으로 추진했으나 주민 몫을 놓고 반발이 거셌다.
이후 설계과정에서 송전철탑이 포함되면서 지중화가 아닐 경우 사업 자체를 철회해야 한다는 군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
28일 송전철탑 건설 예정지 주변 지역민에 따르면 해창만에 추진되는 태양광발전소 사업에 고흥군 풍양면 율치리 조계산 일대를 지나는 8~9기의 송전철탑이 포함됐다.
주민들은 고압 송전철탑이 설치될 경우 상당한 생활 피해가 예상되고 자연경관 훼손 및 농가와 축사에 악영향이 예상되는데도 주민 의견 수렴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공사를 강행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더구나 해창만의 소유주인 고흥군이 개발허가권자이면서도 송전철탑 공사를 묵인하거나 방조하고, 정확한 군의 견해를 내놓지 않아서 시간이 흐를수록 답답함만 더하고 있다.
군 의회는 군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지중화를 추진해달라는 내용의 군정 질의를 펼친 바 있으나, 군은 송전철탑과 관련한 사전 협의나 논의가 없었다고 답변했다.
해창만 수상태양광발전 우선협상대상자인 발전사업자 측은 송전철탑 설치안으로 한전과 발전허가 및 송전용량 계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져 군민들의 지중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철탑 건설이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송전철탑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다른 지자체들은 대규모 태양광사업 추진시 피해 여부를 살핀 뒤 주민과 협의 및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밟지만, 고흥군은 주민 의견 수렴은 고사하고 제대로 된 공청회 한번 열지 않았다”며 “철탑은 지중화에 비해 25%의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수십억 원의 특혜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려는 의혹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고흥군 관계자는 “송전철탑 설치에 대한 민원이 접수된 바 없다”면서 “주민들이 송전철탑 반대 및 지중화를 요구하는 민원을 군청에 제기한다면 대책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흥군은 지난해 1월 2000억 원대의 해창만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수면 임대 우선 협상대상자로 임대제안서를 낸 5개 업체 가운데 한 곳을 선정했다. 해창만 담수호 100㏊에 95㎿ 규모의 발전을 하는 시설로 군은 직접 투자 없이 자산 임대 방식으로 이익금을 주민들에게 일정 부분 나눠주는 전국 최초의 주민참여형(주민참여율 22%) 사업으로 추진했으나 주민 몫을 놓고 반발이 거셌다.
이후 설계과정에서 송전철탑이 포함되면서 지중화가 아닐 경우 사업 자체를 철회해야 한다는 군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