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12월 1일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 소통간담회…유치전 본격화
전일빌딩245에서 부지·특성화 의견 수렴…대통령 공약·2026 예산 타당성 연구 반영, 호남권 첫 국립미술관 탄력
![]() |
광주시가 지역 숙원인 ‘국립현대미술관(MMCA) 광주관’ 유치를 앞당기기 위해 현장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한다.
27일 광주시에 따르면 12월 1일 동구 전일빌딩245 중회의실에서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 유치를 위한 소통간담회’을 연다.
이 자리에서는 현재까지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후보 부지와 특성화 방향을 놓고 지역 미술인의 의견을 직접 받는다.
광주관 유치는 대통령 지역공약으로 명시된 데 이어 2026년 정부 예산안에 지역 국립미술관 건립 타당성 연구가 반영됐고, 3월 개정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는 권역별 균형 설립 근거가 담겼다.
과천·덕수궁·서울에 더해 청주가 운영 중이지만 호남권에는 아직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이 없는 만큼, 광주는 이번 간담회를 유치전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시는 지난해 건립 기본구상을 마련하고 국회 토론회를 여는 등 여건 조성에 나섰다.
지난 6월에는 지역 미술인과 전문가 200여 명이 참여한 포럼을 통해 광주관의 존재 이유와 차별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그간의 논의를 실무 계획으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지역 생태계와 상생하는 전시·수장·보존 체계, 도시 정체성과 맞닿은 학예·교육 프로그램, 장기 운영모델 등이 테이블에 오른다.
광주관이 현실화되면 국립 차원의 컬렉션·연구 기능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라는 도시 플랫폼과 결합해 지역 창작 생태계의 질적 도약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 접근성이 높은 도심 거점에 국립미술관이 들어설 경우, 국제 전시 유치와 연구 협업, 지역 작가의 아카이빙·콘텐츠 산업화까지 파급효과가 확장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광주시는 간담회 결과를 유치전략에 반영해 중앙정부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후보지의 도시·교통 여건, 문화시설 네트워크와의 연계성, 향후 증축·확장 가능성 등도 함께 검토할 한다는 것이다.
광주는 이번 간담회 이후에도 전문가 자문과 시민 참여형 논의를 병행해, 법적 근거와 국가 재정 절차에 맞춘 단계별 로드맵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전은옥 문화체육실장은 “지역 미술계의 의견을 정면에서 듣고 전략에 녹여내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현장과 꾸준히 소통하며 광주만의 정체성과 국제 경쟁력을 동시에 담아낼 유치안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27일 광주시에 따르면 12월 1일 동구 전일빌딩245 중회의실에서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 유치를 위한 소통간담회’을 연다.
이 자리에서는 현재까지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후보 부지와 특성화 방향을 놓고 지역 미술인의 의견을 직접 받는다.
과천·덕수궁·서울에 더해 청주가 운영 중이지만 호남권에는 아직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이 없는 만큼, 광주는 이번 간담회를 유치전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시는 지난해 건립 기본구상을 마련하고 국회 토론회를 여는 등 여건 조성에 나섰다.
지난 6월에는 지역 미술인과 전문가 200여 명이 참여한 포럼을 통해 광주관의 존재 이유와 차별화 전략을 논의했다.
광주관이 현실화되면 국립 차원의 컬렉션·연구 기능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라는 도시 플랫폼과 결합해 지역 창작 생태계의 질적 도약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 접근성이 높은 도심 거점에 국립미술관이 들어설 경우, 국제 전시 유치와 연구 협업, 지역 작가의 아카이빙·콘텐츠 산업화까지 파급효과가 확장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광주시는 간담회 결과를 유치전략에 반영해 중앙정부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후보지의 도시·교통 여건, 문화시설 네트워크와의 연계성, 향후 증축·확장 가능성 등도 함께 검토할 한다는 것이다.
광주는 이번 간담회 이후에도 전문가 자문과 시민 참여형 논의를 병행해, 법적 근거와 국가 재정 절차에 맞춘 단계별 로드맵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전은옥 문화체육실장은 “지역 미술계의 의견을 정면에서 듣고 전략에 녹여내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현장과 꾸준히 소통하며 광주만의 정체성과 국제 경쟁력을 동시에 담아낼 유치안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