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군공항 이전 본궤도…대통령실 주도 큰틀 합의
광주시·전남도·무안군과 4자 협의…정부 마련 중재안 대부분 공감
12월 ‘6자 협의체’ 출범…무안 첨단 국가산단·1조원 지원 등 제시
2025년 11월 19일(수) 20:00
광주군공항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답보 상태였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19일 ‘4자 고위급 사전협의’를 기점으로 중대 분수령을 넘었다.

그동안 군공항 이전에 반대 입장을 고수해 온 무안군이 큰 틀에서 공감을 표명하고 대통령실이 ‘보증인’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실무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온다.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4자 회동이 진행됐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을 비롯해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가 참석했다.

4자 회동은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광주타운홀 미팅에서 약속한 ‘범정부 주관 군공항 이전 6자 협의체’ 구성을 위한 정지작업 성격이다.

4자 대표는 그동안 실무선에서 논의되던 쟁점을 공유하고,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 중 대통령실·국방부·국토부·광주시·전남도·무안군이 참여하는 ‘6자 협의체’를 공식 출범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협의 테이블 위에는 무안군 설득을 위한 정부와 광주시의 ‘파격적인 인센티브 패키지’가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핵심은 정부가 제안한 ‘무안 첨단산업 국가산단’ 조성이다. 대통령실은 무안군에 단순한 현금 보상이 아닌, 지역의 산업 지도를 바꿀 미래 성장 동력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안공항 인근에 데이터 센터, 반도체 등 전력 다소비 첨단 기업이 입주하는 전용 산단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무안군이 요구해 온 ‘국가 차원의 획기적 인센티브’에 대한 정부의 약속으로 풀이된다.

광주시가 제시한 ‘1조원 규모 주민지원사업’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강기정 시장은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따른 기금 외에 시 재원을 추가 투입해 총 1조원을 조성, 무안군 발전을 위해 쓰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

지원금은 소음 피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햇빛 연금(태양광 발전 수익 공유)’, 항공정비(MRO) 산단 조성, 무안 전체를 아우르는 기반 시설 확충에 투입될 예정이다.

광주시는 재정 부담 우려에 대해 ‘정부 융자와 연차별 분할 지원 등을 통해 재원 마련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호남고속철도(KTX) 2단계(광주송정~무안공항~목포) 개통 시점에 맞춘 광주 민간공항 이전 문제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무안군은 군공항 수용의 전제 조건으로 민간공항의 조속한 이전을 요구해왔다. 이날 협의에서는 KTX 개통과 연계해 민간공항을 무안으로 통합하고, 이를 통해 무안국제공항을 서남권 거점 공항으로 육성한다는 원칙에 의견 접근을 이뤘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오늘 회동은 각 주체가 서로 입장을 이해하고 신뢰를 쌓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정부는 무안군민이 우려하는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고, 무안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0여 년간 표류해 온 군공항 이전 사업이 드디어 실행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서준 김산 군수와 중재를 위해 애쓴 김영록 지사, 대통령실에 감사드린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이번 4자 협의는 그동안 얽혀있던 실타래를 푸는 첫 단추”라며 “12월 6자 협의체가 본격 가동되면 구체적인 지원 사업 리스트와 이행 로드맵이 확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63550000792236000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9일 23:3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