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생활인구 월 1천만명 체류 프로젝트’로 지방소멸 극복
2030년까지 21조6000억 투입
‘연결·유입·성장’ 3대 전략 추진
2025년 11월 18일(화) 20:10
전남도가 지방소멸의 위기를 돌파하고 지역에 지속 가능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새로운 인구 정책을 꺼내 들었다.

전남도는 매월 1000만명이 머무는 ‘활력 전남’을 비전으로 생활인구 증대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부터 지역활력을 회복하고 장기체류와 전남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생활인구 생생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전남도는 생활인구 증대를 위해 전남연구원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통해 3대 전략과 20개 핵심과제, 100대 세부사업을 마련했다.

오는 2030년까지 21조 6345억원을 투입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3대 전략으로는 ‘연결’(관계 형성), ‘유입’(체류 확대), ‘성장’(정주 및 활력 창출)을 설정했다.

3대 전략 중 하나인 ‘연결’을 위해 모든 국민이 전남을 ‘두 번째 고향’처럼 느끼도록 하는 관계인구 확장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전남 사랑애(愛) 서포터즈 100만 명 육성’을 통해 전남의 관광, 특산품, 귀농귀촌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려 잠재적인 정주 인구로 유입시킨다는 복안이다. 전남 관광플랫폼(JN TOUR)을 통해 숙박 할인 및 체험 상품을 제공하고, ‘청소년 메가 페스티벌’ 개최 등으로 생활인구 유입의 첫 단추를 꿴다는 계획이다.

유입 전략은 전남에 머무르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일과 쉼, 체험이 공존하는 매력적인 체류형 생활 공간과 콘텐츠를 대폭 확충한다.

권역별 상생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축제, 숙박, 체험 등 시·군별 콘텐츠를 연계해 체류 모델을 구축한다. 또 ‘전남 워케이션 생활인구 정착 프로그램’을 확대해 시군별 거점을 조성하고 숙박 및 체험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기업 참여를 유도한다.

특히 자연 환경을 활용한 ‘100대 명품 숲 연계 콘텐츠 개발’에도 나선다. 각 지역 대표 숲 자원을 활용, 산림휴양과 조림역사관 등을 연계한 웰니스 관광 모델로 발전시키고, ‘섬 바다 연안 크루즈 운영’ 등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체류형 모델 구축을 위해 50개 과제를 추진한다.

성장 전략은 머무는 인구가 전남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삶의 터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농어촌의 유휴 주택 100호를 리모델링해 워케이션이나 단기 체류 공간으로 재활용하며 지역 활력을 높이는 ‘전남형 빈집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주거 공간과 창업·취업 연계를 통합 지원하는 ‘농촌 체류형 복합단지 조성’을 시범 추진하며, ‘외국인 원스톱 종합상담 서비스’, ‘외국인 안심병원’ 지정 등을 통해 외국인의 정주에도 힘을 쓸 방침이다.

전남도는 이번 프로젝트로 월 1000만 명의 생활인구가 전남에 머무를 경우, 1인당 평균 소비액(12만 3000원)을 감안, 연간 15조원 규모의 지역 소비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생활인구는 단순한 방문객이 아니라, 전남의 일상을 함께 만드는 또 하나의 도민”이라며, “‘생활인구 생생생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이 전남으로 모이고, 전남이 대한민국 인구정책을 선도하는 새로운 기준점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생활인구

기존 주민등록 인구에 월 1회 이상,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인구(관광·방문객 등)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2026년부터 지방교부세 산정에 가산점 요인으로 반영된다. 전남의 16개 인구감소지역은 올 3월 기준 등록인구(70만명)의 5배 수준인 생활인구 348만명을 기록했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63464200792162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8일 22:3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