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도시 이미지 흔들리는 GGN 재난방송 효율성 논란
송출 지연·언어 제한…안전망 구조 본질적 점검 요구
![]() 채은지 광주시의원. |
![]() 서임석 광주시의원. |
더불어민주당 채은지(비례)시의원은 “GGN은 재난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맡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최대 81분이나 방송이 늦어진 적이 있다”며 늦장 대응이 지역사회와 외국인 안전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이 중 30분 넘게 지연된 건수가 29건, 60분 이상은 8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강풍·홍수·하천 범람 등 긴급 재난 상황에서 각각 81분, 78분, 73분이 걸렸던 사실이 밝혀져 신속성이 생명인 재난정보 전달의 취지에 심각한 과제가 남았다는 평가다.
지난 7월에는 광주에서 한 날 600mm에 가까운 폭우가 내렸으나, 정작 재난정보 40건 송출에 평균 30분이 소요됐고, 홍수특보는 최대 78분씩 미뤄져 시민 충격을 더했다.
이러한 문제로 지난해에는 GGN이 5건의 재난방송을 송출하지 않아 일천만원의 과태료 처분도 받았다.
언어 장벽으로 인한 정보 격차도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서임석(남구 1선거구)시의원은 “재난은 언어 구분 없이 닥친다. 생명과 안전을 언어에 맡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광주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11만 명에 육박하는데, 베트남·중국·캄보디아·우즈베키스탄 등 비영어권 인구가 80%를 차지함에도 GGN은 재난방송을 영어와 중국어로만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윤도한 GGN 사장은 “현재 AI 번역과 자동 송출 체계 확대를 위해 약 8000만원의 예산이 요구되지만, 현실적으로 언어 다양화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 의원은 “재난안전방송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예산 부족을 이유로 시민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는 행정은 있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언어 재난방송 구축은 광주의 안전정책 인프라의 핵심”이라며 내년 예산에 AI 기반 시스템 반영을 반드시 실행할 것을 주문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