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사망’ 전남대 소극적 대응 빈축
총장 공개사과 미적
진상조사 공개 미온
갑질 예방대책 미흡
진상조사 공개 미온
갑질 예방대책 미흡
전남대가 대학원생 A(24)씨의 갑질 피해 호소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 발생한 지 4개월이 넘도록 구체적 재발 방지 대책은 커녕, 공식 사과조차 하지 않으면서 책임있는 국립대의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국회 국정감사에서 갑질 교수의 수업 참여 등 무관심한 행태에 대한 질타<광주일보 10월 23일 3면>를 받고 광주·전남 시민사회가 연대하면서 한 목소리로 대학측의 사과와 학생 인권 향상을 요구하고 있는데도 <광주일보 11월 7일 6면>, 공개 사과는 커녕 인권실태조사를 꽁꽁 숨기는가 하면, 유족들에게조차 진상조사결과보고서를 내놓지 않는 등 소극적 자세로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9일 전남대 등에 따르면 A씨 유족 측은 지난 5일 전남대에 진상조사결과보고서를 정보공개 청구했다.
유족들은 사건 직접 관계자로 학교측에 진상조사결과를 요구했지만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대학 측의 공개 사과 표명도 없는 상태다. 국회는 지난달 22일 국정 감사 과정에서 갑질 사망 사건을 계기로 대학원생을 값싼 노동력이나 교수 개인 비리로 취급하는 문화를 근절시켜야 한다고 지적했음에도, 총장 명의 공개 사과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앞서 학교 측은 “대학원생 갑질 문제는 전남대만의 문제가 아니다”고도 했다.
가해자로 지목된 지도교수는 지난달 30일 직위해제됐으나, 그 이후 연구교수에 대한 계약 해지나 두 교수에 대한 징계 등 논의도 진척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재발 방지 대책도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광주 시민사회에서는 전남대가 사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는 커녕 뒷북 행태만 보이고, 그나마도 소극적인 자세로만 대처하고 있어 ‘민주·인권·평화의 정신’, ‘5·18민주화운동 성지’ 등 이름까지 무색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유족 측 변호인은 “진상조사 결과 보고서도 대학 측에서 협력하면 하루이틀 사이에 개인정보 처리를 마치고 공개할 수 있을텐데 오래 걸릴 이유를 모르겠다”며 “전남대도 A씨가 당한 갑질 피해에 대해 손놓고 있었던 만큼, 법률관계를 따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일보는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전남대 홍보실장·대외협력처장에게 전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특히 국회 국정감사에서 갑질 교수의 수업 참여 등 무관심한 행태에 대한 질타<광주일보 10월 23일 3면>를 받고 광주·전남 시민사회가 연대하면서 한 목소리로 대학측의 사과와 학생 인권 향상을 요구하고 있는데도 <광주일보 11월 7일 6면>, 공개 사과는 커녕 인권실태조사를 꽁꽁 숨기는가 하면, 유족들에게조차 진상조사결과보고서를 내놓지 않는 등 소극적 자세로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유족들은 사건 직접 관계자로 학교측에 진상조사결과를 요구했지만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가해자로 지목된 지도교수는 지난달 30일 직위해제됐으나, 그 이후 연구교수에 대한 계약 해지나 두 교수에 대한 징계 등 논의도 진척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재발 방지 대책도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광주 시민사회에서는 전남대가 사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는 커녕 뒷북 행태만 보이고, 그나마도 소극적인 자세로만 대처하고 있어 ‘민주·인권·평화의 정신’, ‘5·18민주화운동 성지’ 등 이름까지 무색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유족 측 변호인은 “진상조사 결과 보고서도 대학 측에서 협력하면 하루이틀 사이에 개인정보 처리를 마치고 공개할 수 있을텐데 오래 걸릴 이유를 모르겠다”며 “전남대도 A씨가 당한 갑질 피해에 대해 손놓고 있었던 만큼, 법률관계를 따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일보는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전남대 홍보실장·대외협력처장에게 전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