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억 AX 2단계, “광주 몫 5.1%” 논란…“생활형 실증 빠진 개발 편중” 지적
국비 3600억 가운데 306억만 지역 귀속 가능성 제기…R&D 전국 공모 설계에 “레퍼런스·실증 효과 증발” 우려
![]() 박수기 광주시의원. |
광주의 차세대 인공지능 사업인 ‘인공지능 집적단지 2단계(AX 실증밸리)’가 지역 파급효과를 제대로 담보하지 못한 채 ‘개발 중심’으로 치우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총 6000억 원 규모 사업에서 국비 3600억 가운데 단 306억 원만 광주에 직접 귀속될 수 있고, 4000억 원대 연구개발 예산이 전국 공모로 분산될 경우 지역 기업과 일자리로 연결되는 실질 성과가 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 제기다.
더불어민주당 박수기(광산구 5선거구)시의원은 7일 인공지능산업실 행정사무감사에서 1단계에서 이미 확인된 분산 구조가 2단계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지방비 1476억 원을 제외하면 ‘AX 연구개발 혁신 기반’ 306억 원만 지역 귀속으로 잡혀 있다며, 실증 의무와 지역 기업 쿼터가 빠진 설계는 광주가 전국 R&D의 시험장만 제공하고 성과는 외부로 흩어지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특히 인공지능 산업은 알고리즘 개발보다 현장 데이터로 성능을 검증하고 레퍼런스를 축적하는 과정이 사업화의 관건인데, 1단계에서 구축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핵심 인프라가 ‘개발 편중’ 속에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인공지능융합사업단의 3본부 체계 전환을 두고 전문가·의회와의 사전 협의 부재, 약 50명 규모 조직의 효율성 논란도 제기했다.
민주당 강수훈(서구 1선거구)시의원도 같은 날 산업건설위원회 감사에서 시민 체감형 과제가 빠진 계획서를 “연구기관과 기술인력만 배불리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그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를 “준비 부족이 부른 예견된 결과”라고 규정하며, 전력·용수 수급계획 자료조차 제때 제출하지 못한 행정 역량을 문제 삼았다. 이어 유치 실패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도전 전략과 행정체질 개선 방안을 시민에게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두 의원은 공통으로 2단계 사업의 적정성 재검토와 함께 사업제안요청서에 ‘광주 실증 의무’와 ‘지역 기업 참여 쿼터’를 명문화하라고 요구했다.
광주를 믿고 업무협약에 참여한 기업이 300곳을 훌쩍 넘는 만큼, 실증과 레퍼런스가 지역에서 쌓이는 구조를 지금이라도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광주 몫이 5%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시는 대구·전북·경남 등과 함께 정부 AX R&D 사업을 전국 공모로 추진하되 각 지역 사업에는 지방비가 투입되는 만큼 실증은 해당 지역에서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산·학·연이 과제를 맡을 경우 평가·선정에서 우대해 50% 이상 지역 수혜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며, 1단계에서도 지역 수행 비중이 절반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또 2단계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아니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 기획·공고 주체로 참여하도록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 지역 참여 폭이 넓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시는 1050억 원 규모의 ‘AI 이노스페이스’ 조성으로 피지컬 AI 실증 거점을 구축해 개발과 실증, 사업화를 한 곳에서 묶고, R&D 결과물의 지역 확산을 통해 AX 생태계를 키우겠다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총 6000억 원 규모 사업에서 국비 3600억 가운데 단 306억 원만 광주에 직접 귀속될 수 있고, 4000억 원대 연구개발 예산이 전국 공모로 분산될 경우 지역 기업과 일자리로 연결되는 실질 성과가 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 제기다.
그는 지방비 1476억 원을 제외하면 ‘AX 연구개발 혁신 기반’ 306억 원만 지역 귀속으로 잡혀 있다며, 실증 의무와 지역 기업 쿼터가 빠진 설계는 광주가 전국 R&D의 시험장만 제공하고 성과는 외부로 흩어지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특히 인공지능 산업은 알고리즘 개발보다 현장 데이터로 성능을 검증하고 레퍼런스를 축적하는 과정이 사업화의 관건인데, 1단계에서 구축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핵심 인프라가 ‘개발 편중’ 속에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주당 강수훈(서구 1선거구)시의원도 같은 날 산업건설위원회 감사에서 시민 체감형 과제가 빠진 계획서를 “연구기관과 기술인력만 배불리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그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를 “준비 부족이 부른 예견된 결과”라고 규정하며, 전력·용수 수급계획 자료조차 제때 제출하지 못한 행정 역량을 문제 삼았다. 이어 유치 실패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도전 전략과 행정체질 개선 방안을 시민에게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두 의원은 공통으로 2단계 사업의 적정성 재검토와 함께 사업제안요청서에 ‘광주 실증 의무’와 ‘지역 기업 참여 쿼터’를 명문화하라고 요구했다.
광주를 믿고 업무협약에 참여한 기업이 300곳을 훌쩍 넘는 만큼, 실증과 레퍼런스가 지역에서 쌓이는 구조를 지금이라도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광주 몫이 5%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시는 대구·전북·경남 등과 함께 정부 AX R&D 사업을 전국 공모로 추진하되 각 지역 사업에는 지방비가 투입되는 만큼 실증은 해당 지역에서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산·학·연이 과제를 맡을 경우 평가·선정에서 우대해 50% 이상 지역 수혜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며, 1단계에서도 지역 수행 비중이 절반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또 2단계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아니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 기획·공고 주체로 참여하도록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 지역 참여 폭이 넓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시는 1050억 원 규모의 ‘AI 이노스페이스’ 조성으로 피지컬 AI 실증 거점을 구축해 개발과 실증, 사업화를 한 곳에서 묶고, R&D 결과물의 지역 확산을 통해 AX 생태계를 키우겠다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 강수훈 광주시의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