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으로 출발하는 청년 농부…전남 후계농 대출액 1억7000만원
전남 평균 부채 3765만원의 4.5배 달해
소득 감소·상환 부담에 청년농 대출 위축
청년 귀농인 200명대 초반 3년째 제자리
소득 감소·상환 부담에 청년농 대출 위축
청년 귀농인 200명대 초반 3년째 제자리
![]() 지난해 전남 평균 농가부채가 4000만원에 달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청년 농부들은 대출 상환 부담과 농가소득 감소 탓에 농업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수확기 현장.<광주일보 자료사진> |
지난해 전남 평균 농가소득이 400만원 줄어든 가운데 부채는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 부채가 심화하는 가운데 농업소득 감소와 상환 부담 탓에 청년 농부들의 귀농자금 마련 기회는 위축되고 있다.
5일 더불어민주당 문금주(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남지역 후계농 육성자금 신규 대출자는 744명으로, 전년(799명)보다 6.9% 줄었다.
후계농 자금 이용자는 전남에서 2020년 310명(440억원), 2021년 368명(502억원), 2022년 396명(586억원) 등으로 늘어왔지만,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가 꺾였다.
후계농 자금은 50세 미만 청년 농업인 등에게 농지 구매·임차, 시설 설치 등에 필요한 자금 대출을 지원하는 제도다. 정부는 올해부터 지원 규모를 기존 6000억원에서 1조500억원으로 확대했지만, 올해 들어 9월 기준 전남 신규 대출자는 649명(1007억원)에 그쳤다.
광주 대출자도 2023년 22명, 지난해 7명, 올해 9월 4명 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후계농 자금 대출자가 늘어난 지역은 1년 새 66명 증가한 충남과 경남(39명↑), 경기(17명↑), 울산(10명↑), 세종(3명↑) 등 5곳이었다.
귀농 농업창업자금(귀농자금)은 나이에 상관없이 대출받을 수 있지만 상환 기간이 10년으로, 후계농의 절반 수준인 탓에 이용이 급감했다. 귀농자금은 대출 최고액이 3억원으로, 후계농 자금(5억원)보다 적다. 지난해 전남지역 귀농자금 신규 대출자는 한 명도 없었고, 올해 들어 9월까지 1명이 이용하는 데 그쳤다. 전남 귀농자금 대출자는 2020년 25명, 2021년 20명, 2022년 8명, 2023년 4명 등으로 급격히 줄어왔다.
청년의 농업자금 문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남 농가는 고물가로 인한 생산비용 부담, 농업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부채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전남 농가 평균 부채는 3765만원으로 1년 새 16.7%(552만원) 급증했다. 부채 증가율은 전국 평균 8.3%의 두 배 수준이었다. 지난해 전남 청년들의 후계농 자금 평균 대출액은 1억7000만원으로 지역 평균 부채의 4.5배에 달했다.
전남 농가소득은 지난해 4568만원으로, 1년 새 8%(395만원) 감소했다. 전남 소득 감소율은 9개 도(道) 가운데 가장 높았고, 전국 평균 감소율(0.5%)을 크게 웃돌았다. 농가소득의 핵심인 농업소득은 지난해 625만원으로, 1년 새 40.2%(419만원) 급감했다.
한편 전남지역 귀농인은 2579명(2021년)→1987명(2022년)→1803명(2023년)→1538명(지난해) 등으로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30 귀농인은 2022년 201명, 2023년 212명, 지난해 207명 등으로 200명대 초반에 머물러 있다.
문금주 의원은 “올해 귀농자금 연체율은 1.58%로, 5년 전보다 2배 이상 치솟았고 자영업자 연체율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라며 “청년 귀농인이 농업 외 소득에 의존하거나 고금리 대출로 돌려막는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귀농자금과 후계농 육성자금의 상환 구조를 즉시 개선하고, 단기상환을 20년 상환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대환 대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5일 더불어민주당 문금주(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남지역 후계농 육성자금 신규 대출자는 744명으로, 전년(799명)보다 6.9% 줄었다.
후계농 자금은 50세 미만 청년 농업인 등에게 농지 구매·임차, 시설 설치 등에 필요한 자금 대출을 지원하는 제도다. 정부는 올해부터 지원 규모를 기존 6000억원에서 1조500억원으로 확대했지만, 올해 들어 9월 기준 전남 신규 대출자는 649명(1007억원)에 그쳤다.
광주 대출자도 2023년 22명, 지난해 7명, 올해 9월 4명 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후계농 자금 대출자가 늘어난 지역은 1년 새 66명 증가한 충남과 경남(39명↑), 경기(17명↑), 울산(10명↑), 세종(3명↑) 등 5곳이었다.
청년의 농업자금 문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남 농가는 고물가로 인한 생산비용 부담, 농업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부채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전남 농가 평균 부채는 3765만원으로 1년 새 16.7%(552만원) 급증했다. 부채 증가율은 전국 평균 8.3%의 두 배 수준이었다. 지난해 전남 청년들의 후계농 자금 평균 대출액은 1억7000만원으로 지역 평균 부채의 4.5배에 달했다.
전남 농가소득은 지난해 4568만원으로, 1년 새 8%(395만원) 감소했다. 전남 소득 감소율은 9개 도(道) 가운데 가장 높았고, 전국 평균 감소율(0.5%)을 크게 웃돌았다. 농가소득의 핵심인 농업소득은 지난해 625만원으로, 1년 새 40.2%(419만원) 급감했다.
한편 전남지역 귀농인은 2579명(2021년)→1987명(2022년)→1803명(2023년)→1538명(지난해) 등으로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30 귀농인은 2022년 201명, 2023년 212명, 지난해 207명 등으로 200명대 초반에 머물러 있다.
문금주 의원은 “올해 귀농자금 연체율은 1.58%로, 5년 전보다 2배 이상 치솟았고 자영업자 연체율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라며 “청년 귀농인이 농업 외 소득에 의존하거나 고금리 대출로 돌려막는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귀농자금과 후계농 육성자금의 상환 구조를 즉시 개선하고, 단기상환을 20년 상환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대환 대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