愛춘향, 사랑의 본질을 노래하다
광주시립창극단 11월 7~8일 광주예술의전당서 창극 ‘愛춘향’
고전 바탕 춤·음악·소리 한마당
김용호 예술감독 첫 정기공연 관심
고전 바탕 춤·음악·소리 한마당
김용호 예술감독 첫 정기공연 관심
![]() 광주시립창극단이 오는 11월 7~8일 정기공연 ‘愛춘향’을 선보인다. 춘향 역의 이미소(왼쪽)와 몽룡 역의 박무성이 시연을 하는 모습. |
시간이 흘러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있다. 만남과 이별, 시련 속에서도 굳건히 지켜낸 사랑이다.
열녀 춘향의 절개와 이몽룡의 청렴, 변사또의 탐욕…. 고전 ‘춘향전’은 시대마다 다른 얼굴로 그려졌지만, 그 중심에는 언제나 사랑이 있었다. 그 영원한 감정을 시대의 감각으로 되살리는 무대가 펼쳐진다.
광주시립창극단은 오는 11월 7일(오후 7시 30분)과 8일(오후 3시)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제62회 정기공연 창극 ‘愛춘향’을 선보인다.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장 대중적인 ‘춘향가’를 바탕으로 사랑의 본질을 춤과 음악, 소리로 풀어낸 작품이다.
시립창극단은 지난 28일 전당 국악당 대연습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작품 시연과 함께 연출 의도를 소개했다. 무엇보다 이번 공연은 새로 부임한 김용호 예술감독이 참여한 첫 정기공연으로 관심을 모았다.
김 감독은 “전통예술의 가치는 세월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울림에 있다”며 “‘愛춘향’은 고전의 향기 속에 오늘의 감성을 담아 전통예술의 생명력을 되살린 무대”라고 말했다. 연출은 김영봉, 대본은 홍석환, 작곡·지휘는 김성국, 작창은 주소연이 맡아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무대는 남원 광한루의 봄날, 그네를 타는 춘향을 바라보는 몽룡의 시선에서 시작된다. 서로가 운명임을 알아본 두 사람의 사랑은 단숨에 타오른다. 그러나 부친의 부임으로 몽룡이 한양으로 떠나며 이별이 찾아오고, 그 사이 새로 부임한 변학도가 남원을 휘두른다. 수청을 강요받은 춘향은 절개를 지키다 옥에 갇히지만 고통 속에서도 사랑을 향한 믿음을 잃지 않는다. 죽음을 무릅쓴 기다림 끝에 과거에 급제한 몽룡이 암행어사로 돌아와 변학도의 횡포를 밝히고 춘향을 구한다.
작품은 사랑의 다양한 얼굴을 한 무대에 담는다. 춘향과 몽룡의 순정뿐 아니라 방자와 향단의 솔직한 감정, 월매의 모성, 변학도의 권력에 취한 욕망까지 서로 다른 사랑의 결이 교차하며 인간의 내면을 비춘다. 여기에 몽룡과 춘향의 ‘정령’이 등장해 현대무용으로 인물의 내면을 시각화한 점도 눈길을 끈다.
음악은 전통의 틀 위에 새로운 감각을 입혔다. 작곡·지휘를 맡은 중앙대 김성국 교수는 창작곡과 판소리 선율(수성가락)을 결합하고 생황과 팀파니 등을 더했다. 전통의 흐름을 지키면서도 현대적인 색채를 더해 한층 폭넓은 음악을 완성했다.
연출을 맡은 김영봉 연출가는 ‘그네’를 상징적 오브제로 무대에 올렸다. 흔들리는 그네는 젊음과 자유, 설렘과 그리움, 때로는 억압과 속박까지 춘향의 복합적인 감정을 담아낸다. 그는 “그네의 오르내림이 춘향의 마음과 운명의 흐름을 상징한다”며 “관객이 그 움직임 속에서 청춘의 환희와 고뇌를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배우의 소리와 감정이 중심이 되도록 무대를 단순하게 구성했다”며 “수청이나 어사 출도 장면에서도 세트 대신 배우의 몸짓과 조명, 소리로 감정을 표현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연의 완성도를 끌어올린 건 배우들의 연기다. 단원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사랑의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연습을 거듭했다”고 입을 모았다.
춘향 역의 이미소는 “여러 번 ‘춘향전’을 공연했지만 이번 ‘愛춘향’은 전혀 다른 마음으로 임했다”며 “사랑가에서는 어린 춘향의 설렘을 안무와 함께 표현했고, 이후 절절한 감정으로 이어지도록 세심하게 다듬었다. 힘든 과정이었지만 배우로서 한층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변학도 역의 박형진은 “이번 작품의 변학도는 단순한 악인이 아니라 권력에 중독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며 “탐욕과 오만, 그리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민낯을 표현하고자 했다. 관객들이 다양한 인간 군상을 작품 속에서 발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R석 3만원·S석 2만원·A석 1만원,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티켓링크 예매.
/글·사진=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열녀 춘향의 절개와 이몽룡의 청렴, 변사또의 탐욕…. 고전 ‘춘향전’은 시대마다 다른 얼굴로 그려졌지만, 그 중심에는 언제나 사랑이 있었다. 그 영원한 감정을 시대의 감각으로 되살리는 무대가 펼쳐진다.
시립창극단은 지난 28일 전당 국악당 대연습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작품 시연과 함께 연출 의도를 소개했다. 무엇보다 이번 공연은 새로 부임한 김용호 예술감독이 참여한 첫 정기공연으로 관심을 모았다.
김 감독은 “전통예술의 가치는 세월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울림에 있다”며 “‘愛춘향’은 고전의 향기 속에 오늘의 감성을 담아 전통예술의 생명력을 되살린 무대”라고 말했다. 연출은 김영봉, 대본은 홍석환, 작곡·지휘는 김성국, 작창은 주소연이 맡아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 |
음악은 전통의 틀 위에 새로운 감각을 입혔다. 작곡·지휘를 맡은 중앙대 김성국 교수는 창작곡과 판소리 선율(수성가락)을 결합하고 생황과 팀파니 등을 더했다. 전통의 흐름을 지키면서도 현대적인 색채를 더해 한층 폭넓은 음악을 완성했다.
연출을 맡은 김영봉 연출가는 ‘그네’를 상징적 오브제로 무대에 올렸다. 흔들리는 그네는 젊음과 자유, 설렘과 그리움, 때로는 억압과 속박까지 춘향의 복합적인 감정을 담아낸다. 그는 “그네의 오르내림이 춘향의 마음과 운명의 흐름을 상징한다”며 “관객이 그 움직임 속에서 청춘의 환희와 고뇌를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배우의 소리와 감정이 중심이 되도록 무대를 단순하게 구성했다”며 “수청이나 어사 출도 장면에서도 세트 대신 배우의 몸짓과 조명, 소리로 감정을 표현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연의 완성도를 끌어올린 건 배우들의 연기다. 단원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사랑의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하기 위해 연습을 거듭했다”고 입을 모았다.
춘향 역의 이미소는 “여러 번 ‘춘향전’을 공연했지만 이번 ‘愛춘향’은 전혀 다른 마음으로 임했다”며 “사랑가에서는 어린 춘향의 설렘을 안무와 함께 표현했고, 이후 절절한 감정으로 이어지도록 세심하게 다듬었다. 힘든 과정이었지만 배우로서 한층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변학도 역의 박형진은 “이번 작품의 변학도는 단순한 악인이 아니라 권력에 중독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며 “탐욕과 오만, 그리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민낯을 표현하고자 했다. 관객들이 다양한 인간 군상을 작품 속에서 발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R석 3만원·S석 2만원·A석 1만원,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티켓링크 예매.
/글·사진=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