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김용범 실장에 ‘AI 인프라 확충’ 요구
대통령실 “APEC 이후 검토” 입장…“빈손 방문 시민 우롱” 비판도
![]() 27일 강기정 광주시장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을 만난뒤 시장실에서 백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를 방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에게 ‘광주 AI 인프라 확충’ 방안 제시를 요구했다.
김 실장의 이번 방문은 광주가 유치에 나섰던 AI컴퓨팅센터가 전남으로 사실상 정해진 데 따른 행보로, 후속 대안을 내놓을지 주목됐으나 광주시의 입장과 요구사항을 듣는 선에서 그쳤다.
김 정책실장은 27일 광주시청에서 강기정 시장과 만나 광주의 ‘AI컴퓨팅 자원 집적’ 요구를 들었으나 APEC 이후 검토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날 광주시에 따르면 강 시장은 면담에서 ‘국가 AI컴퓨팅센터 입지 문제와 별개로 광주 AI 생태계가 작동하려면 컴퓨팅 자원이 광주에 집적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강 시장은 “컴퓨팅센터나 이에 준하는 집적인프라를 광주에 배치하는 방안을 정부가 책임 있게 해결해야 한다는 당위와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면서 “컴퓨팅 자원이 광주에 집적돼야 대한민국이 ‘AI 3강’으로 갈 수 있다. 연구소나 실증센터 논의와는 별개로 본질은 자원집적”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AI컴퓨팅센터에 맞먹는 인프라를 요구한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확답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 시장에 따르면 김 정책실장은 ‘상황의 엄중함과 대통령 공약의 무게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관련 부처 등을 만날 필요가 있다’며 한 발 물러났다. 시는 이에 따라 하정우 AI수석을 비롯해 관련 부처와 APEC 이후 만나기로 일정을 조율했다.
강 시장은 김 실장과 면담 후 기자들을 만나 “‘대통령 해외 순방기에는 국내 이슈를 키우지 않는 게 관례’라는 대통령실 설명을 들었다”고 전했다.
광주시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정부와 공식 협의를 압박할 방침이다. 핵심은 컴퓨팅 자원의 실질적 집적이다.
과기정통부와 대통령실 정책실, 관련 기업과의 다자 협의를 통해 컴퓨팅 자원 규모와 설치 위치, 운영 주체, 예산과 전력 인프라 등 구체적 항목을 못박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김 실장의 광주방문과 관련, 지역에선 대통령실이 사실상 빈손으로 내려와 민심 달래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먼저 광주시에 면담을 제안해놓고 언론 노출을 피해 시장 집무실을 벗어나 2층 빈 사무실에서 강 시장과 만나는 등 비공개 행보로 일관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 실장의 이번 방문은 광주가 유치에 나섰던 AI컴퓨팅센터가 전남으로 사실상 정해진 데 따른 행보로, 후속 대안을 내놓을지 주목됐으나 광주시의 입장과 요구사항을 듣는 선에서 그쳤다.
강 시장은 “컴퓨팅센터나 이에 준하는 집적인프라를 광주에 배치하는 방안을 정부가 책임 있게 해결해야 한다는 당위와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면서 “컴퓨팅 자원이 광주에 집적돼야 대한민국이 ‘AI 3강’으로 갈 수 있다. 연구소나 실증센터 논의와는 별개로 본질은 자원집적”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AI컴퓨팅센터에 맞먹는 인프라를 요구한 것이다.
강 시장은 김 실장과 면담 후 기자들을 만나 “‘대통령 해외 순방기에는 국내 이슈를 키우지 않는 게 관례’라는 대통령실 설명을 들었다”고 전했다.
광주시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정부와 공식 협의를 압박할 방침이다. 핵심은 컴퓨팅 자원의 실질적 집적이다.
과기정통부와 대통령실 정책실, 관련 기업과의 다자 협의를 통해 컴퓨팅 자원 규모와 설치 위치, 운영 주체, 예산과 전력 인프라 등 구체적 항목을 못박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김 실장의 광주방문과 관련, 지역에선 대통령실이 사실상 빈손으로 내려와 민심 달래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먼저 광주시에 면담을 제안해놓고 언론 노출을 피해 시장 집무실을 벗어나 2층 빈 사무실에서 강 시장과 만나는 등 비공개 행보로 일관했다.
/글·사진=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