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총 “청년 유출 막기 위해 국비 지원 사업 개선해야”
광주 일경험드림 사업, 단기 인력 활용으로 한계…대책 제시
“정규직 전환·고용 지원금 등 확대로 취업까지 연계 필요해”
“정규직 전환·고용 지원금 등 확대로 취업까지 연계 필요해”
![]() |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경총)은 지난 6월 광주 인구 140만명 붕괴와 관련해 “청년 유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27일 주장했다.
광주경총은 광주시와 전남대 산학협력단이 운영하고 있는 일경험드림 사업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추가 지원책을 제시했다.
광주 일경험드림사업은 지역 미취업 청년과 기업을 연계해 일 경험을 제공해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일자리 디딤돌 사업이다. 광주시가 국비 공모 사업으로 진행하며 인건비 90%를 시(市)비로, 나머지 10%와 기타 간접비용을 기업에서 부담하고 있다.
광주경총은 “일 경험 사업은 기간이 정해져 있어 기업 입장에서 청년을 단순한 단기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데 그치게 된다”며 “직무 경험이 없는 청년에게 업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시간·인력이 투입돼 인력·재정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큰 부담이 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이어 “정부와 지자체 지원 사업의 특성상 인건비 신청, 정산, 보고서 작성, 청년 관리 등 복잡하고 반복적인 행정 절차와 서류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청년들이 심화된 직무 역량을 쌓기보다 단순 보조 업무에 그치는 경우 사업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광주경총은 2년 전 해당 사업 수행 기관으로 참여해 회원사와 미취업 청년을 연계하며 느꼈던 아쉬운 점을 토대로 청년 채용을 늘리기 위한 지원책을 제시했다.
광주경총은 “기업이 단기 인력 활용을 넘어 채용까지 고려하도록 정규직 전환 시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사업 종료 후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추가적인 고용 지원금을 최소 6개월 이상 지급해 기업의 초기 인건비 부담을 대폭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고용 유지 지원금, 사업 참여 청년 정규직 전환 기업에 법인세·소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 제공, 직무 교육 콘텐츠 제공, 채용 전 상담, 서류·행정 절차 간소화 등을 제시했다.
광주경총 관계자는 “지역 청년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일자리 확충과 청년 참여 확대, 정주 여건 개선 등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전환이 필수”라면서 “인력과 재정이 취약한 소규모 기업에 지원 확대 등 기업 규모별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광주경총은 광주시와 전남대 산학협력단이 운영하고 있는 일경험드림 사업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추가 지원책을 제시했다.
광주 일경험드림사업은 지역 미취업 청년과 기업을 연계해 일 경험을 제공해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일자리 디딤돌 사업이다. 광주시가 국비 공모 사업으로 진행하며 인건비 90%를 시(市)비로, 나머지 10%와 기타 간접비용을 기업에서 부담하고 있다.
경총은 이어 “정부와 지자체 지원 사업의 특성상 인건비 신청, 정산, 보고서 작성, 청년 관리 등 복잡하고 반복적인 행정 절차와 서류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청년들이 심화된 직무 역량을 쌓기보다 단순 보조 업무에 그치는 경우 사업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광주경총은 “기업이 단기 인력 활용을 넘어 채용까지 고려하도록 정규직 전환 시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사업 종료 후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추가적인 고용 지원금을 최소 6개월 이상 지급해 기업의 초기 인건비 부담을 대폭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고용 유지 지원금, 사업 참여 청년 정규직 전환 기업에 법인세·소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 제공, 직무 교육 콘텐츠 제공, 채용 전 상담, 서류·행정 절차 간소화 등을 제시했다.
광주경총 관계자는 “지역 청년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일자리 확충과 청년 참여 확대, 정주 여건 개선 등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전환이 필수”라면서 “인력과 재정이 취약한 소규모 기업에 지원 확대 등 기업 규모별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