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폐기물 수거 전국 2위 전남, 전용 수거선 노후화 심각
5년간 19만7033t…전국 57만446t
부유물 감김 선박사고 꾸준히 증가
어민 안전·효율적 수거 대책 필요
2025년 10월 14일(화) 19:55
전남이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며 해양환경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현장에서 투입되는 전용 수거선의 상당수가 20년 넘은 노후 선박인 것으로 드러났다.

동시에 전국적으로 해양쓰레기로 인한 부유물 감김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어민 안전과 효율적인 수거체계 유지를 위한 장비 관리·사고예방대책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전남에서 수거된 해양폐기물은 19만7033t으로 제주(49만3778t)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이어 충남(6만7943t), 경남(5만2500t), 경북(4만5823t) 순으로 폐기물량이 많았다. 전국 해양폐기물 수거량은 57만 446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의 해양폐기물 수거량은 2020년 4만1325t에서 2021년 3만3535t으로 줄었다가, 이후 2022년 3만4671t, 2023년 4만2475t, 2024년 4만5027t으로 다시 증가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폐어망·폐어구 등 어업 부산물과 해안가 밀려드는 부유쓰레기, 양식장 주변 폐기물이 꼽히지만 이를 수거할 장비의 노후화가 여전히 구조적 한계로 꼽힌다.

전남이 보유한 해양폐기물 전용 수거선 5척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이중 4척은 20년을 훌쩍 넘긴 노후 선박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남914호’(1997년·125t), ‘전남915호(완도)’(1997년·125t), ‘전남919호(여수)’(2001년·115t), ‘전남921호(여수)’(2001년·151t)는 모두 1990년대 후반에서 2001년 사이에 건조됐다. 비교적 최근에 투입된 ‘청정고흥호’(2019년·15t)는 규모가 작아 광역 수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장비가 노후화 될 경우 악천후 시 수거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대형 해양폐기물의 신속한 처리에도 제약이 따른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해양폐기물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수거 체계를 유지하려면 단계적인 장비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정부는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최근 5년간 총 4648억 원을 정화사업에 투입했다. 이 중 835억 원은 침적 폐어구 수거 등 연근해 어장 생산성 개선사업에 사용됐고 이 기간 수거된 폐어구는 전국적으로 2만1215t에 달한다.

폐어구 수거량은 2020년 2650t, 2021년 3721t, 2022년 4248t, 2023년 3819t, 2024년 4392t으로 올해 8월 기준으로만 2385t이 수거돼 연말에는 전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해상에 떠다니는 폐어망과 부유쓰레기는 여전히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통계에 따르면, 선박 추진기에 해상 부유물이 감겨 항해가 불가능해지는 ‘부유물 감김’ 사고는 같은 기간 2281건 발생했다.

연도별로 2022년 337건, 2023년 462건, 2024년 467건으로 꾸준히 증가세다. 올해 8월까지 이미 321건이 발생했다.

특히 전남 연안은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복잡한 해류 특성상, 폐어망과 폐부유물이 떠돌기 쉬운 구조라는 점에서 수거에 앞서 해양폐기물이 어장과 항로에 쌓이지 않게 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어기구 의원은 “매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해양폐기물에 의한 선박 사고는 감소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정기국회를 통해 해양폐기물 감축과 부유물 감김 사고 예방을 위한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60439300790472023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15일 03: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