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브리핑] 민형배 “작은 도서관 5곳 중 1곳은 폐관”
![]() |
지난해 작은 도서관 5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광산을) 국회의원이 13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휴·폐관 사례는 매년 늘고 있다. 2019년도에는 전체 6672곳 가운데 648곳(9.7%)이 휴·폐관 상태였으나, 지난해는 전체 6830곳 중 1440곳(21.1%)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5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폐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체 221곳 중 21곳(9.5%)이 문을 닫았다. 이어 세종(6.1%), 광주(5.9%), 경기(5.4%) 순으로 폐관율이 높았다.
반면 이용자 수는 2020년 2198만명, 2021년 2195만명, 2022년 2797만명, 2023년 3027만명,,2024년 3247만 명으로 매년 늘어났다.
문제는 예산이다. 지난해 지자체 공공도서관 지원예산과 문체부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예산 모두 5년 전보다 줄었다. 특히 문체부 ‘작은도서관 문화가 있는 날’ 사업 예산 200만 원은 2년 연속 전액 삭감됐다.
민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독서·서점·도서관·출판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한 결과, 작은도서관 휴·폐관 사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국민의 지적·문화적·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으로서 도서관의 미래 가치를 고려해 문체부는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 민형배(광산을) 국회의원이 13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휴·폐관 사례는 매년 늘고 있다. 2019년도에는 전체 6672곳 가운데 648곳(9.7%)이 휴·폐관 상태였으나, 지난해는 전체 6830곳 중 1440곳(21.1%)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5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반면 이용자 수는 2020년 2198만명, 2021년 2195만명, 2022년 2797만명, 2023년 3027만명,,2024년 3247만 명으로 매년 늘어났다.
문제는 예산이다. 지난해 지자체 공공도서관 지원예산과 문체부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예산 모두 5년 전보다 줄었다. 특히 문체부 ‘작은도서관 문화가 있는 날’ 사업 예산 200만 원은 2년 연속 전액 삭감됐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