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생산 기아 스포티지 일본차에 가격 역전 당하나
미국, 일본산 자동차 관세 15% 인하…한국산은 아직 25% 유지
FTA 2.5% 가격 우위도 상실…8월 수출 증가 불구 불안감 고조
현대차·기아 등 초긴장…정부 “최대한 빨리 15% 적용되도록 노력”
2025년 09월 16일(화) 18:35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16일(현지시간)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본산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15% 관세를 적용한다고 15일 연방 관보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 관세가 현행 27.5%에서 15%로 낮아져 국내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한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하면서 기아 오토랜드광주 등 국내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고 있어 일본차와의 가격 역전 현상까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기아 오토랜드광주에 따르면 지난달 대미 수출량은 1만 5911대로 전년 동월(1만 5889대)보다 증가했다. 이는 미국 현지 수요 회복과 스포티지 등 주력 차종 판매 호조에 따른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날 미국의 일본산 자동차 관세 인하 조치로 수출 확대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전 한국산 자동차는 한미 FTA 혜택을 통해 일본산보다 2.5%p 낮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산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하가 단행되면서 오히려 일본 차가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미국 현지 시장에서 일본차 대비 ‘가성비’를 무기로 내세웠던 한국산 차량의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지난해 기준 수출 물량 중 미국 수출이 50%를 차지하는 기아 오토랜드광주공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한국산 자동차가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면 ‘비가격 경쟁’에만 의존해야 하는 불리한 구조로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에서 준중형 SUV인 기아 스포티지는 25% 관세를 적용해 3만 290달러~4만 390달러에 판매되고 있고, 현지 인기 차량인 대형 SUV 혼다 오딧세이는 3만 7500달러 수준에 판매되고 있다. 혼다 오딧세이는 이날부터 관세가 기존 25%에서 15% 낮춰지면서 3만 4500 달러 수준으로 가격이 떨어져 스포티지를 사려던 소비자들이 오딧세이로 눈길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현재 25% 관세를 적용한 기아 스포티지의 가격은 임시방편으로 이익을 최소화한 가격대로, 25% 관세적용이 장기화할 경우 막대한 영업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일본이 먼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춘 것에 대해 “우리도 최대한 빨리 (15%로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협상의 과정이니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밝힌 상태다.

관세 문제는 정부의 외교 대응이 병행돼야만 해결할 수 있는 만큼 업계에서는 정부의 조속한 한미 최종 합의를 기다리고 있다.

지역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 일본산과의 가격 역전 현상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특히 환율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관세 차이는 수익성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말했다.이어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가 인하된 지금 한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은 즉시 위협받을 것”이라며 “정부가 하루빨리 ‘관세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미국과의 협상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58015300789462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6일 22:3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