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질환 방치하면 ‘전신건강’도 흔들린다
[건강 바로 알기] 치주질환, 김옥수 전남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
씹는 기능 떨어져 영향섭취 어려움
심뇌혈관계 질환·당뇨병까지 영향
우울감 유발 삶의 질 떨어뜨리기도
치간칫솔·치실 사용 치주질환 예방
2025년 09월 15일(월) 08:00
전남대치과병원 치주과 김옥수 교수는 치주질환 예방을 위해 칫솔질 외에도 치간칫솔·치실을 사용해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고 강조했다. 김옥수 교수의 진료 모습. <전남대치과병원 제공>
치주질환은 치아 상실의 구강 건강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 전신질환에도 영향을 주고받는 위험한 질환 중 하나이다. 아울러 상실된 치주 조직은 원상태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올바른 칫솔질과 구강위생 준수 그리고 정기검진 등을 통해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다음은 전남대치과병원 치주과 김옥수 교수가 설명하는 치주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구강 건강, 특히 치주질환은 우리 삶의 질에 생각보다 훨씬 큰 영향을 주며 단순히 입안의 문제를 넘어 전신 건강과 정신 건강에도 깊이 관여되어 있다.

치주염은 잇몸 질환의 한 종류로 잇몸 뿐만 아니라 잇몸뼈까지 염증이 진행되어 치아를 지지하는 주변조직(치주조직)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치주염은 구강 내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치아와 잇몸사이의 공간 즉 치은열구(염증시 치주낭으로 깊어짐)에서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며 미생물 불균형을 초래하고, 병원균들이 독소를 분비하여 치주조직을 손상시킨다. 초기에 잇몸에만 염증이 생기는 치은염 상태에서 시작하여 적절한 치료없이 방치하면 점차 잇몸뼈까지 확산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며, 치주염이 악화되면 치주낭이 깊어지고 잇몸뼈가 파괴되며 결국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다. 치아 상실의 주요 원인인 치주질환의 환자 수는 2022년 기준으로 약 18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0~6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전 세대에 걸쳐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치주질환은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치주질환은 음식을 씹는 기능을 떨어뜨려 영양 섭취를 어렵게 만들 수 있어 결국 우리 몸 전체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만성 치주염은 뇌혈관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 등 다른 중대한 질병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구강 문제로 인한 통증이나 불편함은 일상생활에 큰 스트레스를 주고, 우울감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다. 치주질환으로 인한 자각 증상이 줄어들면, 기능적인 제한이나 통증 경험, 그리고 신체적 능력 저하와 같은 다양한 부정적인 경험들을 줄임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은 단순한 일방적 관계가 아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적 관계를 가진다. 우리나라 전국 단위 연구에서도 이러한 양방향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치주질환이 전신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고, 역으로 전신질환도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치주질환과 주요 전신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본다.

◇심혈관계 질환

치주질환은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합병증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는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혈관환자군에서는 평균우식경험영구치지수, 상실치지수, 치주질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심혈관질환환자의 치아상실이 치주질환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당뇨병

당뇨병과 치주질환은 특히 상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치주염은 당뇨병의 6번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병은 치주염의 유병률을 증가시키고, 혈당조절이 불량할 수록 치주질환의 중증도가 증가한다. 반면에 치주염을 잘 치료하면 혈당조절과 대사상태가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형 당뇨병과 치주질환 관련성 연구에서 당뇨병환자의 경우 당뇨가 없는 정상군에 비해 치은염증, 부착소실과 같은 치주조직의 파괴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환자는 침 속 당 농도가 높아 구강 내 세균 증식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치주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그래서 갑자기 잇몸이 붓고 고름이 차는 치주농양이 자주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치과를 내원하는 경우 당뇨병을 진단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기타 전신질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만성적 국소감염증인 치주병이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뿐만 아니라 조산 등의 전신적 질환이나 그 이상의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치주질환과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폐질환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치주질환이 전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전은 다음가 같다. 구강 내 병원균이 혈류를 통해 전신으로 퍼지는 경로, 치주치료를 통해 혈당조절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치료가 필요하다.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는 심혈관질환 등 여러 전신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치주질환으로 인해 상실된 치주조직을 원상태로 회복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적절한 구강관리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올바른 칫솔질과 구강위생은 하루 최소 2회 이상 꼼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칫솔질 외에도 치간칫솔, 치실을 사용해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치주질환의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시행하여 잇몸 주변에 있는 치석을 제거해야 한다. 치석은 항상 세균막으로 덮여 있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해 줘야 한다. 그리고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잇몸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57890800789376025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5일 17: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