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추진…도심 곳곳 AI로 채운다
‘인공지능 중심도시’ 지정 탄력
AI 분야 집중투자와 집적 발판
타 시도 압도하는 AI생태계 구축
교통·돌봄·행정 등 일상에 AI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여부가
광주 AI산업의 성패 시험대
2025년 08월 18일(월) 19:45
광주시의 ‘인공지능(AI)국가 시범도시’ 지정에 탄력이 붙고 있다.

광주시의 AI 2단계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조성사업’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고,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업이 예열단계에 있는 게 자신감의 원천이다. 무엇보다 AI 분야 집중투자와 집적을 발판으로 타 시도를 압도하는 AI생태계가 구축된만큼 광주에 ‘국가AI컴퓨팅센터’를 유치해 AI중심도시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시민이 직접 체감하는 ‘모두의 AI’ 구현= 광주시는 이번에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AX실증밸리 사업 예산 6000억원을 ‘산업 전환’, ‘도시·생활 혁신’, ‘지원 인프라 구축’ 세 분야에 나눠 투자한다. 모빌리티·에너지 산업 전환(3000억 원)으로 자율주행, 자율제조, 휴머노이드 로봇, 분산전력망 운영 등 차세대 피지컬 AI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정부 국정과제인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와 ‘RE100 산단’ 조성을 선도한다.

도시·생활 혁신(2000억 원)의 하나로 AI민주주의 플랫폼, AI 교통신호체계, 영유아 돌봄 안전 모니터링, 시민 체감형 AI 공원 등 생활밀착형 과제도 추진한다.

민주주의 플랫폼은 시민들 민원 요구사항을 AI 분석 제안해서 정책화하는 것이고, AI교통신호체계는 광주 도심 교통혼잡지역을 AI가 분석해 원활한 교통 흐름을 만든다는 것이다.

영유아 돌봄 안전 모니터링은 영유아 행동 패턴을 AI분석을 통해 위험을 감지해 안전을 도모하는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AI 이노스페이스 구축(1000억 원)사업은 단순 실증을 넘어 창업·연구·실증·상용화를 통합 지원하는 공간으로, 국산 AI 반도체 검증 환경과 피지컬 AI 상용화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강 시장은 “산업만이 아닌, 시민이 직접 체감하는 ‘모두의 AI’를 구현해야 한다”며 “교통, 돌봄, 행정 등 일상 문제 해결형 모델을 집중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AI중심도시 핵심은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시가 AI중심도시로 자리잡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업은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다.

국가AI컴퓨팅센터는 초거대 AI 연구·산업 발전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구축·운영하는 고성능 AI 연산 인프라(HPC, GPU 클러스터 등)다. 초거대 AI 학습을 위한 국가급 인프라로, 사실상 광주의 AI 생태계 완성도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광주 유치에 광주시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다.

유치 여부가 곧 광주AI산업의 성패를 시험대라는 점에서다.

정부는 지난 5월까지 ‘AI국가전략’과 ‘디지털 전략’을 통해 공공·민간 모두 활용 가능한 초거대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 AI 집적단지와 연계한 분산형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공모를 진행했다.

대규모 자본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정부는 정부와 민간이 51:49의 지분을 나눠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비수도권에 대규모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공모를 진행했지만, 두차례 유차됐다.

민간 기업이 구축 적합 지자체를 선정해 신청을 하는 구조였지만 신청한 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다.

이에 정부는 기존 공모방식을 변경해 기업들의 참여를유도 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는 이미 5만㎡ 부지와 120MW 전력을 확보했으며, 핵심 기업들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가 GPU 1조 원 규모를 구매해 전국에 분산 배치하는 계획도 진행 중인 만큼, 광주는 이 자원을 최대한 끌어오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국가 AI컴퓨팅센터는 ‘소버린 AI’ 전략의 핵심 기반”이라며 “9월 공모가 진행되면 반드시 유치해 광주를 AI 국가 시범도시의 중심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가 AI 집적단지·AI 규제자유특구 지정 = 광주시는 인프라·인재·기업 등 AI 생태계가 조성된 광주에 국가 AI집적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AI기본법, 23조)에는 국가나 지자체는 AI산업의 진흥과 인공지능 개발·활용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기술의 연구ㆍ개발을 수행하는 기업·기관이나 단체의 기능적·물리적·지역적 집적화를 추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광주시는 국가 AI집적단지 지정를 위해 규제완화, 세제 지원 등이 포함된 ‘AI 규제자유특구’ 지정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관계 부처와 협의를 통해 규제 완화를 확대한 다는 것이다.

AI 규제자유특구는 AI기술을 중심으로 실증사업을 허용하는 특구로, AI 기술이 헬스케어, 교통, 금융,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적용·검증될 수 있도록 제약을 완화해주는 일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법·제도 때문에 막혔던 AI 기반 서비스가 특구 안에서는 먼저 실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광주시는 기존에 조성된 AI 집적단지와 연계하면 지역 산업 특화와 AI융합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시는 이를 위해 3375개 공공시설(복지시설·공원·주차장 등)과 48개 혁신기관의 연구장비 3879종을 기업 실증 용도로 개방할 계획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55513900788195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18일 23:4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