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정책, 첨단기술 접목, 문화 인프라 구축 역점을”
광주문화예술융성포럼 지역예술인 및 시민 설문조사
2025년 08월 18일(월) 17:50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이 지난 6월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공식 출범했다.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 제공>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문화행정은 데이터 기반, 첨단기술 접목, 새로운 문화 인프라 구축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광주예술문화융성포럼(융성포럼)은 18일 최근 지역 예술인과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10개 문항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인프라·디지털’ 문항 부문에서 예술인과 시민들은 ‘유휴공간 활용’(3.47점), 예술인 DB구축(3.44점), 디지털 플랫폼 구축(3.43점), AI·예술 융합 필요성(3.17점), 새 미술관 설립 필요성(3.15점)을 꼽아 인프라 확충과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또한 예술문화도시 브랜드화를 위해 창고나 빈집, 신축 아파트 필로티 등을 예술가 레지던시나 창작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예술문화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저조한 편이었다. 문화경제부시장의 정책 리더십에 대한 지난 3년간의 평점은 4점 만점에 1.66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문화경제적인 전문성보다는 정치적 징검다리로 활용했다는 시민들의 지적과 무관치 않았다.

예술인 행정지원 체감도는 1.89점, 전반적인 정책 만족도는 1.94점에 머물렀다. 일부 항목에서는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20%에 달해 시민과 행정 사이의 소통 창구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융성포럼은 이번 설문 조사와 함께 전략적 대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제시됐다고 밝혔다.

먼저 정책 가시화를 위해 핵심성과지표, 예산, 성과를 공개하고 시민용 그래픽 대시보드를 마련해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었다. 또한 참여형 거버넌스로 예술인과 시민이 정책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상설 플랫폼을 마련해 소통 부재를 해소해야 한다는 답변도 제기됐다.

전문성 확보 방안으로 문화경제부시장직의 정치적 임명 관행을 개선하고 문화정책 전문가 중심의 설계·집행 구조로 전화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도 있었다.

아울러 AI·디지털 크리에이티브 랩을 운영해 AI 큐레이션, VR 전시, 블록체인 저작권 관리 등 첨단 기술을 실증하는 도시로 성장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안됐다.

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은 “이번 조사에서 20·30대 청년층은 정책 만족도에서 다소 관대한 평가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부족으로 ‘모르겠다’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며 “이는 정책 설계에서 청년층 참여 확대와 정보 접근성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은 지난 7월 9일부터 31일까지 광주지역 예술인과 시민 1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0개 문항의 리커트 4점 척도식 설문조사와 정성적 응답을 토대로 진행됐다. 응답자는 50·60대가 67.6%, 남성이 52.7%, 전업·준전업 예술인 및 문화예술계 종사자가 60.9%였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55507000788168007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18일 22: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