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노트]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 환경보다 정치가 앞서나 - 최승렬 기자
![]() |
광주시 광산구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 파장이 인근 수완지구까지 번지고 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우려로 쉬쉬 말을 아끼는 분위기이지만, 안전과 건강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적극 나서야할 기초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사태를 계기로 세 불리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대표적인 사례가 최근 광주시 광산구 수완지구 일대에 실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체 이름으로 현직 구청장에게 책임을 묻는 프랭카드가 집중적으로 내걸린 사건이다.
표면적으로는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기와 배경을 감안하면 선거 전략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현수막이 내걸린지 몇주가 지났지만 누가 이를 게재했는지는 아직 ‘오리무중’이다. 발암물질 지하수 사태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끌어 정치선동을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광산구가 꾸린 오염대책 TF팀에 광산구의회를 대표해 1명의 구의원이 참여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완지구 지역구 구의원 3명이 뒤늦게 합류를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미 전문가 등 16명이 위촉돼 2차 회의까지 진행된 상태이지만, 굳이 추가로 이 회의에 참가하려는 구의원들의 심중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또 여기에 중복운영되고 있는 TF팀의 헛점도 도마위에 올랐다.
광산구와 광주시가 각각 TF팀을 운영해 같은 사안을 이중적으로 다루면서 위원들마저 중복 선임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광산구가 하나의 TF를 꾸리는 것이 아니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분쌓기로 접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하남산단만이 아닌 광주시 곳곳에서 지하수 오염사태가 발생된 만큼 예산 확보 등이 용이한 광주시로의 TF팀 통합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논란 속에 광산구가 최근 하남산단 인근 주거지역의 경우는 105곳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모두다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혀 그나마 주민들은 안도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산단내 공업용 관정 16곳은 아직도 법적 기준치를 초과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로 부적합 판정을 받아 산단내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산단 노동자도 결국 지역민들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하다.
결국 지하수 오염은 주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이다. 정쟁의 도구가 되기보다 과학적 조사와 실질적 대책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 환경 문제에 정치가 개입되면 결국 피해는 주민 몫이 된다.
/srchoi@kwangju.co.kr
주민들 사이에서는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우려로 쉬쉬 말을 아끼는 분위기이지만, 안전과 건강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적극 나서야할 기초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사태를 계기로 세 불리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표면적으로는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기와 배경을 감안하면 선거 전략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현수막이 내걸린지 몇주가 지났지만 누가 이를 게재했는지는 아직 ‘오리무중’이다. 발암물질 지하수 사태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끌어 정치선동을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미 전문가 등 16명이 위촉돼 2차 회의까지 진행된 상태이지만, 굳이 추가로 이 회의에 참가하려는 구의원들의 심중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또 여기에 중복운영되고 있는 TF팀의 헛점도 도마위에 올랐다.
광산구와 광주시가 각각 TF팀을 운영해 같은 사안을 이중적으로 다루면서 위원들마저 중복 선임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광산구가 하나의 TF를 꾸리는 것이 아니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분쌓기로 접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하남산단만이 아닌 광주시 곳곳에서 지하수 오염사태가 발생된 만큼 예산 확보 등이 용이한 광주시로의 TF팀 통합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논란 속에 광산구가 최근 하남산단 인근 주거지역의 경우는 105곳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모두다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혀 그나마 주민들은 안도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산단내 공업용 관정 16곳은 아직도 법적 기준치를 초과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로 부적합 판정을 받아 산단내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산단 노동자도 결국 지역민들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하다.
결국 지하수 오염은 주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이다. 정쟁의 도구가 되기보다 과학적 조사와 실질적 대책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 환경 문제에 정치가 개입되면 결국 피해는 주민 몫이 된다.
/srcho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