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텃밭’인데…지명직 최고위원에 호남 배려해야
권리당원 많고 수도권 표심에 영향 ‘호남의 선택’ 따라 지도부 결정
8·2전당대회 당권 레이스 본격화…‘호남 정치’ 강화 계기 마련해야
2025년 07월 14일(월) 20:55
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당권 레이스가 본격화 하면서 ‘호남 정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다수의 권리당원이 포진된 ‘호남의 선택’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이지만, 정작 전당대회에는 호남 정치인의 이름은 없고, 호남에 대한 구체적인 약속도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광주·전남 다선 의원들은 전당대회 출마보다는 자신들의 내년 지방선거 도전을 위해 차기 당 대표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호남은 민주당의 텃밭으로 수 십년간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당선 가능성이 높은 탓에 ‘지나친 물갈이’만 되풀이 돼 전당대회 선출직 지명직에 출마할 수 있는 여건마저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전당대회 이후 ‘지명직 최고위원’을 교체할 경우, 민주당 내에서 변방으로 내몰리고 있는 호남을 먼저 배려해야 한다는 구체적이 요구도 나오고 있다.

14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권 주자인 박찬대·정청래 의원이 연일 광주·전남을 찾아 지지세를 넓히고 있다. 이들 후보를 지지하는 이 지역 국회의원과 광역·기초의원들마저 총동원이 돼 연일 전당대회 선거전을 치르고 있다.

박찬대·정청래 의원은 최근 매주 한 차례 이상씩 호남을 찾고 있으며, 세를 과시하기 위해 지역 정치권을 총동원 시키면서 볼썽사나운 모습도 연출되고 있다. 최근 한 당권 주자가 참여하는 행사에 지역 한 광역의원이 과도한 의전을 하면서 지역민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과 광역의원이 당권 주자에게 과도한 충성과 의전을 펼쳤기 때문이다.

이처럼 광주·전남 정치권이 지지 후보에 따라 각 진영으로 나뉘어져 연일 설전을 벌이고도 있다. 지역 국회의원 조직과 광역·기초의원 조직까지 총동원이 돼 관련 단체 대화방을 개설해 자신들이 지지하는 당권 주자들을 홍보하고 있고, 일부 정치 조직 내에서 지지 당권 주자가 달라 서로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당권 주자들의 지역 행사에 조직을 총동원하면서 지역 정가에서 피로감도 호소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이 때아닌 ‘민주당 전당대회 최전방’이 되고 있는 것은 이번 전당대회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 대표 선거에서 권리당원 비율이 55%나 차지하는 점이다. 호남에는 권리당원 약 35%가 포진해 있는 만큼, 박찬대·정청래 의원은 일찌감치 호남 당심 잡기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이에 지역 정가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본인 선거를 위한 줄서기’를 중단하고 지역 발전과 호남 정치 복원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자중의 목소리도 내고 있다.

호남은 다수의 권리당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서울과 수도권의 표심에도 영향을 미침에 따라 민주당 전당대회의 중요 승부처다. 하지만, 정작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호남 출신 ‘선출직’은 찾아볼 수 없다. 앞선 전당대회 선출직 최고위원에 출마한 민형배·송갑석·서삼석 의원이 잇따라 낙마하면서 ‘민주당 전당대회 상수’로 여겨지던 ‘선출직 최고위원 호남 몫 한 명’이라는 공식도 사라졌다.

김민석 국무총리의 최고위원직 사퇴로 치러지는 이번 전당대회 최고위원 보궐선거에도 황명선(충남 논산·계룡·금산) 의원 1명만 출마를 선언했다.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 중 박지원 의원을 제외한 다선 의원들은 최고위원 도전 보다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탓도 크다. 광주 국회의원 8명 중 7명은 초선인데다, 유일한 재선인 민형배 의원은 내년 광주시장 출마를 준비중이고, 전남에서는 이개호, 신정훈, 서삼석, 주철현 의원 등이 전남지사 출마를 준비중이거나 고려중이기 때문이다.

민주당 중앙당 한 관계자는 “정권 교체 과정에 호남의 희생과 역할이 대단했고, 당내 입지도 가장 탄탄하지만 전당대회 기간에 호남에서 당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가 전혀 없다”면서 “호남 정치인이 지역발전 등이 고려된 큰 틀에서 전당대회를 바라보지 않고, ‘자신과 친한 지도부를 만들 수 있는 기회’로 여긴 탓”이라고 지적했다.

또 “민주당 새지도부에 호남 발전을 위한 ‘지명직 호남 최고위원 배려’는 이재명 정부 초기 호남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서도 절실하다”면서 “‘대통실-내각-여당 내 호남 인맥 삼각축’을 이뤄야 호남의 다양한 목소리를 정책과 예산에 실질적으로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52494100786641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5일 06: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