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전략 - 이민철 광주 광산구도시재생공동체 센터장
![]() |
오늘날 도시의 미래는 어디에서 시작되어야 할까. 기술이나 자본 이전에 우리는 도시를 구성하는 삶의 뿌리부터 다시 돌아봐야 한다. 나는 그것이 바로 ‘마을’이라고 생각한다. 마을은 가장 작은 삶의 단위이자 가장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공간이다.
지속가능하고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별히 세 가지 분야가 건강해야 한다. 시민사회의 활력, 건강한 기업과 경제의 순환, 그리고 정치의 민주성이다. 이 세 가지는 추상적인 국가 정책이나 행정의 결정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살아가는 마을의 일상 속에서 시작된다.
이런 점에서 광주는 특별한 가능성을 지닌 도시다. 광주는 5·18 민주화운동을 통해 풀뿌리 민주주의의 저력을 경험한 도시이며 지금도 시민사회가 살아 숨 쉬는 도시다. 이제 광주는 이 뿌리 깊은 자산을 바탕으로 ‘마을에서 시작하는 세계도시’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광주는 마을에서 민주주의를 실험하고, 마을에서 경제를 순환시키며, 마을에서 지구를 살리는 도시다.”
이 메시지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도시의 전략이며 실천 방향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마을에서 주민총회를 열고 자치계획을 수립하며 마을 일자리와 마을 기업을 만들고 돌봄과 에너지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짜 민주주의이고 지속 가능성이다.
이제 ‘주민자치회’라는 제도적 틀을 넘어 실질적인 마을정부를 상상하고 설계해야 한다. 마을정부는 주민이 예산을 결정하고 정책을 제안하며 마을 살림을 주도하는 생활 민주주의의 실현이다. 이를 위해선 자치역량을 키우는 교육과 학습이 병행돼야 하며 마을 자치학교, 마을 정책연구소와 같은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마을자치는 경제와 연결돼야 한다. 마을에서 돌봄, 에너지, 먹거리, 환경, 문화 같은 생활밀착형 일자리를 만들고 사회적협동조합과 마을기업으로 순환경제를 실현해야 한다. 행정과 중간지원조직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마을경제 생태계의 지원자가 되어야 한다.
광주는 이미 이를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각 동마다 활동하는 주민자치회, 마을 활동가, 사회적경제 주체들, 다양한 공동체 기반의 시민사회가 존재하고 있다. 남은 것은 이들을 하나의 도시 전략으로 통합하고 제도적 실험으로 뒷받침하는 일이다.
특히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이주민 확산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마을 기반의 돌봄과 사회적 관계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 역시 에너지 자립, 도시농업, 생태 전환 같은 실천이 마을 단위에서 촘촘히 설계되어야 한다. 이처럼 마을은 단순한 행정단위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거점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최근 수십 년간 놀라운 민주주의 발전을 이뤄냈다. 1980년의 계엄 상황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2000년대 촛불혁명, 그리고 최근의 응원봉 혁명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끊임없이 증명해왔다. 이 과정에서 ‘K-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민주주의 실천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풀뿌리 마을자치와 마을정부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중앙정부나 거대 도시 차원에서의 민주주의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제와 시민의 다양성을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다. 마을 단위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결정하는 자치와 민주주의가 바로 우리 사회의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는 핵심 토대다.
광주는 이 ‘K-민주주의’의 정신을 마을 단위에서 재현하고 확산시키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마을에서 시작되는 민주주의 실험이 곧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이며 세계가 배우고 싶어 하는 모델이 될 것이다.
광주형 마을정부, 마을자치, 마을경제 모델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도시들이 주목할 만한 새로운 실험이 될 수 있다. 마을에서부터 정치와 경제, 사회와 환경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도시. 그것이 바로 세계의 미래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세계의 미래는 풀뿌리에서 시작된다.
지속가능하고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별히 세 가지 분야가 건강해야 한다. 시민사회의 활력, 건강한 기업과 경제의 순환, 그리고 정치의 민주성이다. 이 세 가지는 추상적인 국가 정책이나 행정의 결정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살아가는 마을의 일상 속에서 시작된다.
이 메시지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도시의 전략이며 실천 방향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마을에서 주민총회를 열고 자치계획을 수립하며 마을 일자리와 마을 기업을 만들고 돌봄과 에너지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짜 민주주의이고 지속 가능성이다.
이제 ‘주민자치회’라는 제도적 틀을 넘어 실질적인 마을정부를 상상하고 설계해야 한다. 마을정부는 주민이 예산을 결정하고 정책을 제안하며 마을 살림을 주도하는 생활 민주주의의 실현이다. 이를 위해선 자치역량을 키우는 교육과 학습이 병행돼야 하며 마을 자치학교, 마을 정책연구소와 같은 기반이 필요하다.
또한 마을자치는 경제와 연결돼야 한다. 마을에서 돌봄, 에너지, 먹거리, 환경, 문화 같은 생활밀착형 일자리를 만들고 사회적협동조합과 마을기업으로 순환경제를 실현해야 한다. 행정과 중간지원조직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마을경제 생태계의 지원자가 되어야 한다.
광주는 이미 이를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각 동마다 활동하는 주민자치회, 마을 활동가, 사회적경제 주체들, 다양한 공동체 기반의 시민사회가 존재하고 있다. 남은 것은 이들을 하나의 도시 전략으로 통합하고 제도적 실험으로 뒷받침하는 일이다.
특히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이주민 확산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마을 기반의 돌봄과 사회적 관계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 역시 에너지 자립, 도시농업, 생태 전환 같은 실천이 마을 단위에서 촘촘히 설계되어야 한다. 이처럼 마을은 단순한 행정단위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거점이 되어야 한다.
한국은 최근 수십 년간 놀라운 민주주의 발전을 이뤄냈다. 1980년의 계엄 상황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2000년대 촛불혁명, 그리고 최근의 응원봉 혁명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끊임없이 증명해왔다. 이 과정에서 ‘K-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민주주의 실천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풀뿌리 마을자치와 마을정부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중앙정부나 거대 도시 차원에서의 민주주의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제와 시민의 다양성을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다. 마을 단위에서 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결정하는 자치와 민주주의가 바로 우리 사회의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는 핵심 토대다.
광주는 이 ‘K-민주주의’의 정신을 마을 단위에서 재현하고 확산시키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마을에서 시작되는 민주주의 실험이 곧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이며 세계가 배우고 싶어 하는 모델이 될 것이다.
광주형 마을정부, 마을자치, 마을경제 모델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도시들이 주목할 만한 새로운 실험이 될 수 있다. 마을에서부터 정치와 경제, 사회와 환경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도시. 그것이 바로 세계의 미래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세계의 미래는 풀뿌리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