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100곳 문 닫을때 노인시설 800곳 문 열었다
광주·전남, 저출산 해결 안되면 남은 어린이집도 절반 폐업 불가피
“변화된 인구 분포·청년층 결혼관 등 반영해 장기적 대책 마련해야”
“변화된 인구 분포·청년층 결혼관 등 반영해 장기적 대책 마련해야”
![]() /클리아트코리아 |
급격한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광주·전남지역에서 1년새 어린이집은 100여곳이 줄어든 반면 노인복지시설은 800여곳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남은 전국 시·도 가운데 ‘어린이집 없는 행정동이 가장 많은 자치단체’ 중 한 곳으로 지목되면서, ‘아이도 없고, 맡길 곳도 없는’ 지방 소멸의 악순환이 우려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저출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현재 남아있는 어린이집마저도 절반 가까이 폐업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1일 보건복지부의 ‘2023년 12월 말 기준 보육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어린이집은 국·공립 159개소, 사회복지법인 82개소, 법인·단체 18개소, 민간 270개소, 가정 319개소, 협동 2개소, 직장 28개소 등 모두 878개소로, 2022년 940개소에 비해 6.6%(62개소)나 줄었다.
세부적으로 가정 어린이집이 363개소에서 319개소로 12.1%(44개소), 민간 어린이집이 296개소에서 270개소로 8.8%(26개소), 사회복지법인이 91개소에서 82개소로 9.9%(9개소) 감소했다.
전남지역 어린이집 역시 지난해 국·공립 209개소, 사회복지법인 147개소, 법인·단체 43개소, 민간 273개소, 가정 239개소, 협동 2개소, 직장 39개소 등 총 952개소로, 전년 999개소보다 4.7%(47개소)가 사라졌다.
특히 전남의 경우 가정 어린이집이 268개소에서 239개소로 10.8%(29개소), 민간 어린이집이 303개소에서 273개소로 9.9%(30개소) 적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가임기 여성 1명이 가임 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보이고 있는 데다 저출산 여파로 신생아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면서 지역 어린이집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게 광주시와 전남도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현상을 일부라도 극복하기 위해선 ‘아이도 없고, 맡길 곳도 없는’ 인구 소멸의 악순환부터 끊어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시장 논리에 따라 어린이집의 감소를 무작정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만 앞으로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게 문제다. 광주·전남지역은 여전히 어린이집 정원보다 현원(어린이 수)이 현저히 적어 이용률이 60%대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광주 어린이집 총정원은 4만3399명이지만, 현원은 2만8761명으로 이용률은 66.3%에 불과하다. 전남 어린이집 역시 정원은 5만2578명이지만, 현원은 3만5344명으로 이용률은 67.2% 수준에 그쳤다. 결국 저출산 문제가 지속된다면, 그나마 버티고 있는 어린이집마저도 절반 가까이는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전남지역은 저출산 여파로 어린이집이 아예 없는 행정동만 101곳으로, 아이를 낳아도 맡길 곳이 없는 지역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어린이집이 줄어든 반면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2023년 기준 광주지역 노인복지시설은 전년 대비 461개소, 전남은 355개소나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동시에 찾아온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두 현상을 하나의 패키지로 보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안 등을 내놓고 있다.
김경례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점점 저출생,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만큼 변화된 인구 분포, 청년들의 결혼·가족관 인식 등을 반영한 정책도 동시에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특히 전남은 전국 시·도 가운데 ‘어린이집 없는 행정동이 가장 많은 자치단체’ 중 한 곳으로 지목되면서, ‘아이도 없고, 맡길 곳도 없는’ 지방 소멸의 악순환이 우려되고 있다.
1일 보건복지부의 ‘2023년 12월 말 기준 보육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어린이집은 국·공립 159개소, 사회복지법인 82개소, 법인·단체 18개소, 민간 270개소, 가정 319개소, 협동 2개소, 직장 28개소 등 모두 878개소로, 2022년 940개소에 비해 6.6%(62개소)나 줄었다.
세부적으로 가정 어린이집이 363개소에서 319개소로 12.1%(44개소), 민간 어린이집이 296개소에서 270개소로 8.8%(26개소), 사회복지법인이 91개소에서 82개소로 9.9%(9개소) 감소했다.
특히 전남의 경우 가정 어린이집이 268개소에서 239개소로 10.8%(29개소), 민간 어린이집이 303개소에서 273개소로 9.9%(30개소) 적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가임기 여성 1명이 가임 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보이고 있는 데다 저출산 여파로 신생아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면서 지역 어린이집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게 광주시와 전남도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현상을 일부라도 극복하기 위해선 ‘아이도 없고, 맡길 곳도 없는’ 인구 소멸의 악순환부터 끊어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시장 논리에 따라 어린이집의 감소를 무작정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만 앞으로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게 문제다. 광주·전남지역은 여전히 어린이집 정원보다 현원(어린이 수)이 현저히 적어 이용률이 60%대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광주 어린이집 총정원은 4만3399명이지만, 현원은 2만8761명으로 이용률은 66.3%에 불과하다. 전남 어린이집 역시 정원은 5만2578명이지만, 현원은 3만5344명으로 이용률은 67.2% 수준에 그쳤다. 결국 저출산 문제가 지속된다면, 그나마 버티고 있는 어린이집마저도 절반 가까이는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전남지역은 저출산 여파로 어린이집이 아예 없는 행정동만 101곳으로, 아이를 낳아도 맡길 곳이 없는 지역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어린이집이 줄어든 반면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2023년 기준 광주지역 노인복지시설은 전년 대비 461개소, 전남은 355개소나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동시에 찾아온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두 현상을 하나의 패키지로 보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안 등을 내놓고 있다.
김경례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점점 저출생,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만큼 변화된 인구 분포, 청년들의 결혼·가족관 인식 등을 반영한 정책도 동시에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