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은 선거구 획정 초안에 입지자들 혼란
2023년 12월 07일(목) 00:00
22대 총선을 4개월 앞두고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안 초안이 나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을 그제 국회에 제출했다. 획정안은 국회의원 정수(300명)와 지역구 의원 정수(253명)를 유지하면서 인구수 변동 등을 감안해 마련했다.

획정안에 따르면 253개 지역구 내에서 인구수 13만 6600명 이상, 27만 3200명 이하를 기준으로 서울과 전북에서 1석씩 줄인 반면 인천과 경기에서 1석씩 늘렸다. 광주와 전남은 각각 8곳과 10곳으로 지역구 수에서는 변동이 없지만 전남 선거구가 일부 조정됐다. 영암·무안·신안 선거구가 공중 분해돼 영암이 해남·완도·진도에 묶이고, 무안은 나주·화순에, 신안은 목포에 편입됐다. 동부권에선 순천·광양·곡성·구례 갑과 을로 2개이던 선거구가 순천이 분리돼 갑과 을로 나뉘고, 광양·곡성·구례로 조정됐다. 전남 서부권에서 1곳이 줄어든 반면 동부권에서 1곳이 늘어난 것이다.

선거구 획정은 철저하게 인구수 상·하한선을 기준으로 한다. 전남 선거구 조정은 인구 면에서 서부권의 쇠퇴와 동부권의 도약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영암·무안·신안의 경우 공중 분해로 선거를 준비해 온 입지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오는 12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데 갑자기 선거구가 사라지게 돼 ‘멘붕’에 빠지게 됐다.

이번 획정안은 국회 정개특위와 본회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어 향후 조정될 가능성은 있다. 그렇더라도 인구수만 기준으로 하면서 나타나는 농어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차제에 개선책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전처럼 총선 40여 일을 앞두고 최종안이 확정될 경우 정치 신인들은 자신의 지역구도 모른채 깜깜이 선거 운동을 해야하는 것도 개선해야 할 점이다. 여야 정치권은 남은 기간 최대한 빨리 최종안을 확정해 입지자들의 혼란을 막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70187480076147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22:4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