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에서 ‘살모사의 20배 독’ 바다뱀 발견
‘넓은띠큰바다뱀’…‘밤수지맨드라미’ 등 열대·아열대성 생물도
![]() ‘넓은띠큰바다뱀’ |
여수 해역에서 살모사보다 20배 이상 강한 독을 품은 바다뱀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섬지역 수중생태계 조사 결과 여수해역에서 ‘넓은띠큰바다뱀’과 ‘밤수지맨드라미’가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넓은띠큰바다뱀은 바닷속에서 생활하나 육지에서 번식과 산란을 하는 코브라과 해양파충류다.
넓은띠큰바다뱀은 여수 향일암에서 남쪽으로 34㎞ 떨어진 무인도(소간여) 해역에서 활동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밤수지맨드라미는 거문도 인근 해역에서 발견 됐고, 산호충류에 속하며 밤송이를 닮고 수심 5~25m에 서식하며 수온에 민감한 해양생물이다.
이들은 각각 일본 남부 오키나와 또는 타나베만과 인도양 등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로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라 전남 바다에 유입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연구결과 제주도 해역 표층수온이 36년간 2도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에 의해 수온이 상승하고 난류가 확장되면서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이 국내 해역으로 유입·정착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섬지역 수중생태계 조사 결과 여수해역에서 ‘넓은띠큰바다뱀’과 ‘밤수지맨드라미’가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넓은띠큰바다뱀은 바닷속에서 생활하나 육지에서 번식과 산란을 하는 코브라과 해양파충류다.
![]() ‘밤수지맨드라미’ |
이들은 각각 일본 남부 오키나와 또는 타나베만과 인도양 등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로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라 전남 바다에 유입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연구결과 제주도 해역 표층수온이 36년간 2도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에 의해 수온이 상승하고 난류가 확장되면서 열대·아열대성 해양생물이 국내 해역으로 유입·정착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