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브로커’ 연루 광주·전남 경찰 7명 직위해제
‘승진 뇌물’ 등 혐의…경찰직장협 “철저한 감찰·승진 제도 개혁” 촉구
![]() /클립아트코리아 |
‘사건 브로커’ 연루 의혹을 받는 광주·전남 경찰들이 무더기 직위해제 되고 있다.
경찰들이 뇌물을 주고 승진한 혐의에 대한 수사가 이어지자 경찰직장협의회는 “‘사건 브로커 의혹’을 감찰하고 승진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6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지금까지 광주지검이 수사개시 통보를 한 광주·전남 경찰 7명에 대해 직위해제 조치가 내려졌다.
이들은 사건 브로커 A(62)씨로부터 청탁성 금품을 수수하고 사건무마를 해주거나 A씨에게 금품을 주고 인사청탁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수사기관 청탁을 대가로 다른 공범과 함께 가상자산 사기 사건 용의자로부터 고가 외제차 등 18억5400만원을 받아 구속된 상태다.
광주에서는 광주북부경찰 B경정과 광주경찰청 소속 C경감 등 2명이 직위해제됐다. B경정은 지난 2020년 광주광산경찰서 재직 당시 A씨로부터 청탁성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C경감은 A씨에게 금품을 주고 인사청탁을 한 혐의로 수사망에 포착됐다.
전남에서 직위 해제된 5명의 현직 경찰은 해남·목포경찰서 소속 경정 2명과 진도·목포 경찰서와 전남경찰청 소속 경감 3명 등으로 이들 모두 제삼자 뇌물교부 혐의를 받는다. 2021년 경감 또는 경정 심사 승진에서 2000~3000만원 상당의 뇌물을 전달하고 승진을 했다는 것이다.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는 24일 서울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브로커’ 의혹과 관련해 경찰청의 감찰과 승진 제도 개혁 등을 촉구했다.
경찰직협은 “조직을 이끄는 고위직들이 인사 청탁으로 조직 전체의 공정·신뢰를 잃게 만들고 위상을 실추시켰다”면서 “경찰청은 경찰 승진 인사 비리를 개인의 일탈로 치부할 게 아니라 조직 내부에 잔존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승진 인사에 대한 절차와 기준을 명확히 하고 평가 과정과 결정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근무평정제도를 전면 개선하라는 것이다.
이어 경찰직협은 “부정한 인사청탁과 인사개입을 시도한 자들에 대해 검찰 수사와 별개로 경찰청에서 감찰해 징계하라”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경찰들이 뇌물을 주고 승진한 혐의에 대한 수사가 이어지자 경찰직장협의회는 “‘사건 브로커 의혹’을 감찰하고 승진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6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지금까지 광주지검이 수사개시 통보를 한 광주·전남 경찰 7명에 대해 직위해제 조치가 내려졌다.
A씨는 수사기관 청탁을 대가로 다른 공범과 함께 가상자산 사기 사건 용의자로부터 고가 외제차 등 18억5400만원을 받아 구속된 상태다.
광주에서는 광주북부경찰 B경정과 광주경찰청 소속 C경감 등 2명이 직위해제됐다. B경정은 지난 2020년 광주광산경찰서 재직 당시 A씨로부터 청탁성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에서 직위 해제된 5명의 현직 경찰은 해남·목포경찰서 소속 경정 2명과 진도·목포 경찰서와 전남경찰청 소속 경감 3명 등으로 이들 모두 제삼자 뇌물교부 혐의를 받는다. 2021년 경감 또는 경정 심사 승진에서 2000~3000만원 상당의 뇌물을 전달하고 승진을 했다는 것이다.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는 24일 서울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브로커’ 의혹과 관련해 경찰청의 감찰과 승진 제도 개혁 등을 촉구했다.
경찰직협은 “조직을 이끄는 고위직들이 인사 청탁으로 조직 전체의 공정·신뢰를 잃게 만들고 위상을 실추시켰다”면서 “경찰청은 경찰 승진 인사 비리를 개인의 일탈로 치부할 게 아니라 조직 내부에 잔존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승진 인사에 대한 절차와 기준을 명확히 하고 평가 과정과 결정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근무평정제도를 전면 개선하라는 것이다.
이어 경찰직협은 “부정한 인사청탁과 인사개입을 시도한 자들에 대해 검찰 수사와 별개로 경찰청에서 감찰해 징계하라”고 덧붙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