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검경 압수수색 등 압박에 ‘곤혹’
‘전대 돈봉투’·‘한동훈 개인정보 유출’ 의혹 국회사무처 등
![]() |
민주당 의원들을 겨냥한 검경의 잇단 압수수색에 민주당 내부가 뒤숭숭한 분위기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검경의 수사가 공천 전선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들은 사법기관의 잇단 압수수색에 정치 탄압 성격이 분명하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지만 이를 지켜보는 민심의 추이에 따라 내년 총선 지형이 뒤틀릴 수 있다는 점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은 지난 5일 수수자로 지목된 국회의원들의 국회 출입기록을 확보하기 위해 국회사무처를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는 이날 국회사무처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2021년 전당대회 당시 송영길 전 대표 경선캠프에 속해 있던 의원 10여 명에 대한 국회 본청·의원회관 출입 기록을 확보에 나섰다.
이번 압수수색은 검찰이 녹취파일, 관련자 진술 등을 토대로 수수자 대상으로 꼽히는 의원들의 동선을 확인, 교차검증하기 위한 차원이다. 검찰은 전당대회가 임박한 2021년 4월 28∼29일 이틀 동안 무소속 윤관석 의원이 300만원씩 든 돈 봉투를 최대 20명의 현역 의원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말 국회사무처에 이들의 출입 자료 임의제출을 요청했지만, 국회사무처는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는 등 정식 절차를 거쳐 달라”며 사실상 거부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이날 집행에 나섰다.
특히, 검찰의 국회 출입 기록 자료 요구 명단에는 수도권 7명, 호남 6명, 충청권 2명 등의 국회의원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일고 있다. 이 가운데 5~6명은 이른바 친명(친이재명)계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정치권도 검찰의 수사 결과가 민주당 경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검찰의 수사에 내년 총선 판을 흔들려는 정치적 목적이 있다며 분개하고 있다.
하지만, 전대 돈 봉투 사건 수사를 정치적 탄압으로 몰아가기 쉽지 않고 검찰의 수사가 내년 총선 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당 의원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민주당 한 재선 의원은 “이같은 민주당에 대한 수사는 내년 총선 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민주당이 제대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검찰발 물갈이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서울경찰청 반부배·공공범죄수사대는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의 휴대전화와 의원실을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작년4월 한동훈 장관의 인사청문자료가 최 의원을 거쳐 MBC 기자 등에게 유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최 의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으로 한 장관 인사 청문회에 참여했다. 최 의원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황당하고 어이가 없다”며 “이런 식으로 장난을 칠 경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사법기관들의 정치권 관련 수사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결국 민주당이 강력한 혁신으로 결속해야 위기의 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민주당 현역 국회의원들은 사법기관의 잇단 압수수색에 정치 탄압 성격이 분명하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지만 이를 지켜보는 민심의 추이에 따라 내년 총선 지형이 뒤틀릴 수 있다는 점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는 이날 국회사무처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2021년 전당대회 당시 송영길 전 대표 경선캠프에 속해 있던 의원 10여 명에 대한 국회 본청·의원회관 출입 기록을 확보에 나섰다.
이번 압수수색은 검찰이 녹취파일, 관련자 진술 등을 토대로 수수자 대상으로 꼽히는 의원들의 동선을 확인, 교차검증하기 위한 차원이다. 검찰은 전당대회가 임박한 2021년 4월 28∼29일 이틀 동안 무소속 윤관석 의원이 300만원씩 든 돈 봉투를 최대 20명의 현역 의원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검찰의 국회 출입 기록 자료 요구 명단에는 수도권 7명, 호남 6명, 충청권 2명 등의 국회의원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일고 있다. 이 가운데 5~6명은 이른바 친명(친이재명)계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정치권도 검찰의 수사 결과가 민주당 경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검찰의 수사에 내년 총선 판을 흔들려는 정치적 목적이 있다며 분개하고 있다.
하지만, 전대 돈 봉투 사건 수사를 정치적 탄압으로 몰아가기 쉽지 않고 검찰의 수사가 내년 총선 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당 의원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민주당 한 재선 의원은 “이같은 민주당에 대한 수사는 내년 총선 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민주당이 제대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검찰발 물갈이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서울경찰청 반부배·공공범죄수사대는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의 휴대전화와 의원실을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작년4월 한동훈 장관의 인사청문자료가 최 의원을 거쳐 MBC 기자 등에게 유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최 의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으로 한 장관 인사 청문회에 참여했다. 최 의원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황당하고 어이가 없다”며 “이런 식으로 장난을 칠 경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사법기관들의 정치권 관련 수사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결국 민주당이 강력한 혁신으로 결속해야 위기의 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