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대학’ 선정, 지역 균형 발전 고려해야
2023년 06월 05일(월) 00:00
글로컬 대학 선정을 위한 신청서 접수가 지난 31일 마감되면서 지방대학들의 사활을 건 ‘전쟁’이 시작됐다.

‘글로컬대학30’으로 불리는 이 사업은 혁신역량을 갖춘 지역 대학을 올해부터 2026년까지 30곳을 뽑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해 1개교당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게 골자다. 학교당 지원 규모가 워낙 큰 데다 다양한 특혜까지 주어지는 만큼 광주·전남에서만 14개 대학이 신청서를 접수했다. 전국 108개 대학이 도전에 나서는 등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교육부는 기존 선정방식을 벗어나 신청 대학에 ‘5쪽 이내 혁신기획서’를 요구하는 등 파격적인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글로컬 대학 정책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향후 10~15년 간 대학의 과감한 혁신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유도해야 지방대학과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깔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되지 못한 지방대는 고사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선정 여부가 사실상 ‘살생부’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타 시도에 비해 지자체의 대학 지원 역량이 미진하고 산업여건 마저 열악한 광주·전남지역 대학들은 선정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우리 지역 신청 대학들엔 이번 경쟁이 사실상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글로컬 대학에서 요구하는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의 경우 부산, 영남권보다 산업생태계가 열악한 광주·전남에는 불리한 조항이라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달 중으로 15개교 내외로 글로컬 대학을 예비 지정할 계획이다. 선정 여부에 따라 지역과 대학의 명운이 갈리는 상황이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번 사업의 취지가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에 있는 만큼, 선정 과정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안배 등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85890800753202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21:5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