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에 무방비…전남 수산 피해 줄일 대책을
2023년 06월 02일(금) 00:00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눈앞에 닥쳤다. 일본 측은 처리 과정을 거쳐 안전하다 말하지만 한국 국민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 중금속 오염으로 인한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과거 사례에서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한 듯 보인다.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전국 최대 수산물 산지인 전남 어민들이 벌써부터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전남은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60%, 어업 인구의 38%, 어선 수의 42%를 차지한다. 그런 만큼 어민들은 요즘 두명 이상만 모여도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화제로 삼을 만큼 걱정이 크다.

전복 산지인 완도군 금일읍의 경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우려로 전복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사상 최저가를 기록하고 있다. 전복 양식장을 만드는 데 들어간 대출금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파산하는 어민들도 속출하고 있다. 도시에서 어촌으로 삶터를 옮긴 귀어인들도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포기하는 실정이다.

영광 지역 한 어민은 그동안 잡아왔던 민어 대신 갯벌에 살아 그나마 방사능 걱정이 덜한 낙지잡이로 어종 변경을 고심하고 있다. 도시 소비자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상 방류를 앞두고 수산물 소비를 꺼리고 있다. 일부에선 소금에 대한 사재기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오염수 방류가 본격화되면 수산물 생산도 문제지만 소비가 급감, 어민들의 생계가 막막해질 수밖에 없다. 바다에서 꿈과 희망이 사라지면서 전남 지역 수산업계와 어민들은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로 내몰리고 있다. 전남도는 전담 조직을 꾸려 수입 수산물 유통 이력제 강화와 원산지 표시 특별 점검 등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어민과 소비자의 불안감을 덜어 주기에는 미흡하다. 지자체들은 예상 피해 조사, 방사능 감시, 수산물 소비 및 어업인 보호 대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 어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85631600753131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22:5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