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 5·18해결 5원칙 시민공론화 제안
![]() |
5·18기념재단이 6월부터 5·18해결 5원칙에 대한 광주시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공론의 장을 마련한다.
재단은 31일 광주시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공론장을 마련하게 된 것은 지난 2월 19일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공로자회와 특전사동지회가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동선언식’을 강행한 이후 공법2단체와 시민단체 간 갈등이 격화한 것이 계기가 됐다.
재단은 공론장을 통해 갈등의 근원이자 출발점인 5·18해결 5원칙을 재검토하고 시민 의견을 모아 중재 역할에 나서며, 나아가 5·18이 나아갈 길까지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재단은 100인토론, 집담회, 토론회, 학술행사, 설문·여론조사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시민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집담회를 최소한 네 차례 이상 진행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앞서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30일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나들의 5·18위원회’와는 취지가 맞닿아 있으나, 재단과 광주시는 이와 관련 사전 논의를 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개로, 재단은 ‘공동선언식’과 관련해 “가해자의 진정한 사죄, 시민과 함께하는 용서가 필요하며 오월단체·시민단체 간 상호 인정·존중도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 “광주시민을 학살한 특전사에 대한 지역 정서는 말할 것도 없으며, 특전사들이 피해자를 자처하는 것은 경악스럽다”는 의견도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재단은 31일 광주시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공론장을 마련하게 된 것은 지난 2월 19일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공로자회와 특전사동지회가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동선언식’을 강행한 이후 공법2단체와 시민단체 간 갈등이 격화한 것이 계기가 됐다.
재단은 100인토론, 집담회, 토론회, 학술행사, 설문·여론조사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시민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집담회를 최소한 네 차례 이상 진행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앞서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30일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나들의 5·18위원회’와는 취지가 맞닿아 있으나, 재단과 광주시는 이와 관련 사전 논의를 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