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철저히 따져야
2023년 05월 22일(월) 00:00
한국 정부 시찰단이 오늘부터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처리 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 활동에 돌입한다. 시찰단은 다핵종 제거 설비(ALPS) 등 오염수 정화·방류 설비를 집중 점검한다는 방침이지만, 검증이 아닌 확인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이끄는 한국 정부 시찰단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전·방사선 전문가 19명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환경 방사능 전문가 한 명 등 모두 21명으로 구성됐다. 어제 일본에 입국한 시찰단은 오늘부터 나흘 동안 오염수 정화·처리 과정을 점검한다.

시찰단은 오늘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과 경제산업성,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등 관계 기관과 회의 및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23∼24일에는 후쿠시마 제1원전을 찾아 오염수 관리 실태를 직접 확인한다. 25일에는 현장 점검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측과 심층 기술 회의 및 질의응답이 예정돼 있다. 시찰단은 오염수 발생부터 방류 지점까지 전반적으로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시찰단에 민간 전문가가 빠진 데다 명단조차 공개되지 않았다. 독자적인 오염수 시료 채취도 국제원자력기구 검증 과정에 KINS가 들어가 있다는 이유로 배제됐다. 일각에서 이번 점검이 검증이 아닌 단순 시찰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는 국민의 건강은 물론 안전과 직결된 사안이다. 시민단체들이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 저지 공동행동’을 구성해 반발하고 나선 까닭이다. 특히 국내 최대 수산물 생산지인 전남 어민들은 오염수 방류가 현실화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행여 시찰단의 현장 방문이 오염수 방출의 명분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이번 시찰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철저하게 검증해 국민에게 보고하는 실효적인 점검 과정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84681200752671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1:10:05